눈울 감고 심호흡을 하면
約已
아침에 일어나 창문을 열고 차 한 잔을 마신다.
그리고 요가 매트를 깔고 절 체조를 한 후 자리에 앉는다.
눈을 감고 심호흡을 한다.
5월에 이석증이 재발했을 때 차라리 팔·다리가 부러지는 게 더 낫다고 생각했었다.
조금 나아지는가 싶더니 무릎 골절로 깁스를 하게 되었다.
의사가 다리를 심장 위로 올려놓는 것이 좋다고 해 누워 있는 시간이 많아졌다.
거실 천장만 멍하니 바라보거나, 창가에 앉아 자유로이 걸어 다니는 사람들을 보면 부러웠다.
깁스를 하고 두 주가 지나자 몸도 마음도 지쳤다.
소화도 안 되고 어지럼 증세가 다시 나타날 조짐이 보였다.
나 자신이 괜히 불쌍해졌다. 옆방에는 아이가 재택근무를 하고 있어 소리는 내지 못하고 눈물만 흘렸다.
다행히도 아이는 자기 방에서 나오지 않았다.
‘이대론 안 된다. 나를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눈물을 닦고서는 소파에서 내려와 몸을 천천히 창가로 옮겼다.
두툼한 방석 위에 불편한 다리를 올려놓고 눈을 감았다.
호흡에 집중하면서 명상을 시작했다.
“인간의 마음은 그 뇌의 활동에 의해 떠오른 것이다. 인간의 뇌는 그 몸의 활동에 의해서 내면화된 것이다.
인간의 몸은 타자와의 조응적 활동에 의해 진화한 것이다. 그 모든 타자는 원초적 활동의 흔적들이다.
하지만 묻지 않고 있는 가장 중요한 질문은, 마음의 활동에 의해서 무엇이 생성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K님, 『차마 깨칠 뻔하였다』 마음의 너머1)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그렇게 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바꿔야 하는가?’
깁스를 푼 지 한 달이 지났다.
한동안 놓았던 붓도 들었고 덮어 두었던 책도 다시 펼쳤다.
허둥대지 않고 고요함을 유지하면서 몸과 마음을 넘어 의식의 세계로……
 Japan and, the Shackles of the past
							Japan and, the Shackles of the pa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