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행(經行)은 물론 ‘낮은 중심’을 얻는 게 요령입니다. 신독(愼獨)이 독(獨) 탓에 그 활개를 충분히 펼칠 수 없다면, 경행은 공사에 두루 이루어지고, 움직임(經)이 있으면 늘 가능하지요. 다른 글에서도 말했지만, 신독이 마음에 치우친다면 경행은 일거수일투족을 낮게 만들어, 이 낮음으로써 공부의 중심을 삼습니다.
2. 걷고 있는 중, 한 걸음 한 걸음을 놓는 순간, 바로 그 순간, 발바닥과 단전(丹田)이 이어져있다는 사실을 매번 확인하는 체감이 있으면 당신은 경행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요. 마치 눈에 보이지 않는 무슨 근육의 선(線)과 같은 게 이어져 있다는 체감이 있어야 합니다. 물론 단전호흡을 여태 터득하지 못하였으면 복식호흡이라도 괜찮아요.
3. 행공(行功)이 높아지면 다리(걸음)만이 아니라 온 몸의 무슨 움직임이든지 단전과 연결되는 느낌 속에서 이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