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10.14 19:00

매실청 개시 기념,

조회 수 3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저녁식사는 맛있게 드셨나요,

저는 오늘 저녁메뉴로, 실가온 매실청을 넣어 열무비빔국수를 만들어 보았어요.


그림3.jpg


만든 이를 떠올리니 자부심이 생기고 (남몰래) 위풍당당.  



내친김에 언시에서 구입한 물건들을 사진 찍어봅니다.

이 물건이 머금은 관계에, 잠시 풍요로워집니다.

그림1.jpg그림5.jpg그림2.jpg그림4.jpg



*

(홈페이지 <照下> 14번글)


언시(焉市)


시숙물지언시불창(時熟物至焉市不創)
때가 익고 물건이 오니 어찌 시장이 열리지 않겠는가.


이를 줄여서 숙인언시(孰人焉市)라고 부를 수 있고, 그 뜻은 (누구의 어찌 시장)(숙인의 어찌 시장), 입니다.

간편하게는 다시 이를 줄여서 언시(焉市, 어찌 시장이!)라고 부르면 되겠군요.

누구의 어찌 시장을 줄여, <누찌장>으로 불러도 좋습니다.      -k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4 踏筆不二(23)-깨진 기왓장과 넝마 지린 2020.11.03 702
133 茶房淡素 (차방담소)-5-달의 집으로 가다 1 효신 2020.11.01 401
132 장면과 장면 사이의 개입 현소자 2020.10.30 395
131 踏筆不二(22) 빛 1 지린 2020.10.27 488
130 茶房淡素 (차방담소)-4 효신 2020.10.18 367
129 말로 얻은 길. '몸이 좋은 사람' 올리브 2020.10.16 416
» 매실청 개시 기념, file 희명자 2020.10.14 381
127 吾問(5) 기억의 무게 敬以(경이) 2020.10.12 454
126 踏筆不二(21) 自將巾袂映溪行 지린 2020.10.12 425
125 行知 연재 종료, 희명자 2020.10.09 351
124 茶房淡素 (차방담소)-3 효신 2020.10.04 405
123 行知(13) 말로 짓는 집 1 희명자 2020.10.03 411
122 吾問(4) 거울놀이 file 敬以(경이) 2020.10.02 402
121 踏筆不二(20) 詠菊 지린 2020.09.28 389
120 < 86회 별강> 타자, 그 낯섦의 구원 해완 2020.09.25 421
119 吾問(3) 언어화 1 敬以(경이) 2020.09.22 418
118 茶房淡素 (차방담소)-2 효신 2020.09.20 379
117 始乎爲士終乎爲聖人 희명자 2020.09.19 349
116 踏筆不二(19) 天生江水流西去 지린 2020.09.17 471
115 吾問(2) Listen to my question (제 질문을 잘 들으세요) file 敬以(경이) 2020.09.12 472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6 Next
/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