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902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정신과 표현:

표현주의 존재론과 정신 진화론


images_(1).jpg

인간은 참으로 표현(表現)에 극성을 부립니다. 좋게든 나쁘게든, 말이지요. 정신은 지향성(Intentionalität)의 역동이므로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그 마음의 속내와 솜씨, 관심과 희망을 드러냅니다. 정신적 존재인 인간은 표정(expression)이 곧 표현(expression)입니다. 또한 인간의 경우 자기표현에서 배제된 게 곧 소외(alienation)이지요. 예술이나 문학, 혹은 종교 등속만이 표현인 게 아닙니다. 인간의 삶, 그 전체가 바로 표현의 무대이자 그 성취인 것입니다. 성자(聖者)나 달인도 그들만의 표현 속에서 살아가며, 두어 살 먹은 아기도 자기표현이 있고, 연쇄살인범도 나름의 흔적ㆍ표현을 통해 제 모습을 드러냅니다. 정신과 삶이 있는 존재라면, 그 존재는 곧 표현의 연쇄로 드러납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정신적) 존재를 표현주의적으로 해명하고, 이를 진화론의 맥락에서 살피는 가운데 가능한 존재의 미래, 혹은 그 가능성을 사유합니다. ‘세계가 없다면 신(神)은 신이 아니(Ohne Welt ist Gott nicht Gott)’라면서 신(정신)에 있어 표현은 그 존재의 조건이며, 정신은 필연적으로 세계를 정립(표현)한다고 말하는 헤겔(F. Hegel)식 표현주의가 중요한 참조점이 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다윈적 진화론에서 한 걸음 나아가 ‘정신의 진화’(그레고리 베이트슨G. Bateson)를 현실로 인정하고, 정신을 자기표현의 형식이자 지향으로 이해하면서 인간 정신의 가능한 변화를 상상해 봅니다. 도킨스(R. Dawkins)가 유전자의 표현형 효과(phenotype-effect)을 말하였지만 나는 ‘정신의 표현형 효과’를 말하려는 것입니다.

인간의 삶은 방향을 지닌 표현력이며 그 성취입니다. “술어가 되고 주어가 될 수 없는 것이 의식”(니시타 기타로)이랬듯이 표현이 되지만 소유가 될 수 없는 게 곧 인간 존재인 것입니다. 인간정신을 포함한 존재일반이 물화(物化), 소유화, 혹은 ‘기술적 중계점’(하이데거)이 되고 있는 때에, 이 글은 ‘표현 인간학’을 제시합니다. 표현(력)이야말로 인간 정신의 알짬이며, 응대가 사회적 진화의 매개인 것처럼 표현은 그 정신 진화의 촉매가 됩니다. 인간은 표현으로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며, 이로써 그 존재는 미래를 향합니다.

장소/ 서울 서촌, <서숙>

일시/ 2024/5/4(토), 오후 3시~6시 30분

정원/ 선착순 20명

신청/ 문의/ 숙비, 010-2436-8760 (chodamy/daum.net)/

단빈, 010-7150-5441 (mhk97@naver.com)

회비/ 2~4만 (서숙의 월세 후원금입니다. 개인 사정에 따라 스스로 정해 입금해 주어요.)


  • ?
    孰匪娘 2024.04.07 17:35
    * 게시된 글은 선생님 블로그에서 옮겨 온 글 입니다.

  1. 2024년 7월 선생님 강의 장독藏讀(38회) 입니다.

    Date2024.06.26 By孰匪娘 Views909
    Read More
  2. 장독藏讀(37회)_ 후기

    Date2024.06.26 By孰匪娘 Views955
    Read More
  3. 2024년 6월 선생님 강의 장독藏讀(37회)입니다.

    Date2024.05.22 By孰匪娘 Views930
    Read More
  4. 2024년 5월, 선생님 강의, 장독藏讀(36회)입니다.

    Date2024.04.07 By孰匪娘 Views902
    Read More
  5. 장독藏讀(35회) 후기

    Date2024.04.07 By孰匪娘 Views873
    Read More
  6. 2024년 3월, 선생님 <서숙> 강연, 藏講(35회) 입니다.

    Date2024.03.12 By孰匪娘 Views795
    Read More
  7. 2024년 2월 k 강연(藏講 34회)

    Date2024.02.18 By찔레신 Views824
    Read More
  8. 藏孰江(10) 합리성과 자유, 혹은 商人과 匠人

    Date2019.09.20 By遲麟 Views1691
    Read More
  9. 藏孰江(9) 2019년8월23일(금) <글쓰기의(와) 철학: 내 글쓰기의 이력과 그 이후>

    Date2019.08.14 By藏孰 Views38612
    Read More
  10. 藏孰江(8) 2019년7월26일(금) <생각의 어리석음과 산책의 현명함>

    Date2019.07.16 By藏孰 Views1355
    Read More
  11. 藏孰江(7) 2019년6월21일(금) <일본, 혹은 맹점(盲點)에 관하여>

    Date2019.06.09 By藏孰 Views777
    Read More
  12. 藏孰江(6) 2019년5월24일(금) <자본과 영혼>

    Date2019.05.11 By藏孰 Views813
    Read More
  13. 藏孰江(5) 2019년4월26일(금) <切問待言: 철학이란 무엇인가?>

    Date2019.04.01 By藏孰 Views858
    Read More
  14. 藏孰講(4) 2019년3월22일(금) <粘液에서 靈魂까지: 사랑에 대한 인문학적 序說>

    Date2019.03.03 By藏孰 Views1010
    Read More
  15. 藏孰江(3) 2019년2월22일(금) <생각은 왜 공부가 아닌가?>

    Date2019.01.29 By藏孰 Views947
    Read More
  16. 장숙강(2) 무능의 급진성과 零度의 인문학

    Date2019.01.05 By藏孰 Views95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