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95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숙> 서촌 컨퍼런스, ‘자득(自得)과 나의 공부길’

2024년 8월의 서촌 강의는 마침 새로운 장소(<문화공간 길담>)에서 열리는 첫 모임이므로 공동강의(소규모 컨퍼런스)의 형식으로 진행합니다. 전체의 주제는 ‘자득(自得)과 나의 공부길’이며, 나를 포함해서 네 명의 학인(숙인)들이 참여해서 강의합니다. 각자 20분 강의에 20분 질의응답 시간을 갖고, 시간 여건을 살펴 남은 시간으로 전체 논의를 종합합니다. 각 강의자가 해당 시간의 사회자가 되며, 전체 논의의 사회는 내(단보, k)가 맡습니다.

1. 단보(端甫, k), <자득이란 무엇인가?>

2. 숙비랑, <마음의 경계와 바깥>

3. 는길, <공부의 활동성 : 터지고 트이고 튀우다>

4. 유재, <쓸모없는 것이 아름다운 길>

장소/ 서울 종로구 서촌, <문화공간 길담>

일시/ 2024/8/17(토), 오후 3시~6시 30분

정원/ 선착순 25명

신청, 문의/ 숙비, 010-2436-8760 (chodamy/daum.net)/

단빈, 010-7150-5441 (mhk97@naver.com)

회비/ 2~4만 (장소의 임대료 후원금입니다. 개인 사정에 따라 스스로 정해 입금해 주어요.)


  1. 8월, 서촌 강의/ ‘자득(自得)과 나의 공부길’

  2. 2024년 7월 선생님 강의 장독藏讀(38회) 입니다.

  3. 장독藏讀(37회)_ 후기

  4. 2024년 6월 선생님 강의 장독藏讀(37회)입니다.

  5. 2024년 5월, 선생님 강의, 장독藏讀(36회)입니다.

  6. 장독藏讀(35회) 후기

  7. 2024년 3월, 선생님 <서숙> 강연, 藏講(35회) 입니다.

  8. 2024년 2월 k 강연(藏講 34회)

  9. 藏孰江(10) 합리성과 자유, 혹은 商人과 匠人

  10. 藏孰江(9) 2019년8월23일(금) <글쓰기의(와) 철학: 내 글쓰기의 이력과 그 이후>

  11. 藏孰江(8) 2019년7월26일(금) <생각의 어리석음과 산책의 현명함>

  12. 藏孰江(7) 2019년6월21일(금) <일본, 혹은 맹점(盲點)에 관하여>

  13. 藏孰江(6) 2019년5월24일(금) <자본과 영혼>

  14. 藏孰江(5) 2019년4월26일(금) <切問待言: 철학이란 무엇인가?>

  15. 藏孰講(4) 2019년3월22일(금) <粘液에서 靈魂까지: 사랑에 대한 인문학적 序說>

  16. 藏孰江(3) 2019년2월22일(금) <생각은 왜 공부가 아닌가?>

  17. 장숙강(2) 무능의 급진성과 零度의 인문학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