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5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식당의 인문학:

거래와 환대의 윤리를 위하여



이번 서촌 장강(藏講)에서는 ‘식당의 인문학’이라는 주제로 강의합니다. 공부나 종교나 정치나, 그 모든 게 ‘인간의 일’이라는 조건을 벗어나지 못하며, 특히 먹는 일의 사회성은 인간의 행위를 짐승의 행동과 변별시키는 기원적이면서도 결정적인 가치를 지닙니다. 음식은 그 자체로 아직 문화가 아닐 수 있지만, 식탁은, 어울려 먹기는, 그리고 이 어울림에 동원되는 각종의 형식과 윤리는 탁월한 문화(a culture of excellence)입니다. 이 강의 속의 ‘식당’은 이런 형식과 윤리를 요구받는 문화사회적 제도이자 매개입니다.

물론 논의의 배경은, 한국사회에서 특징적인 직인(職人)/상인 문화나 그 윤리의 부재입니다. 근대적 사회란 쉽게 말해 농민이었던 백성이 시민이라는 상인(商人)으로 변모하는 시공간입니다. 거의 모든 곳이 시장이 되어, 재화(財貨)가 상시로, 전방위적으로 유통되면서 이에 따른 제도와 문화가 삶의 형식을 안정적으로 이루게 됩니다. 그러나 알다시피, 한국사회는 이미 잘 밝혀진 갖은 문제점에 떠밀려 시장자본주의적 합리화에 필요한 문화나 기풍(ethos)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습니다. 특히 우리가 일상 접하고 이용하는 자영업소의 정신문화적 난맥상은 이미 정도를 넘어섰으며, 이로써 소통과 거래 속에 살 수밖에 없는 우리는 우리 자신의 행태와 습관과 무지 속에서 심신을 소모하고 에너지를 낭비하며, 자칭하는 ‘선진국’의 실제를 스스로 부인하고 맙니다. 선진, 이란 무엇보다도 정신이며 기풍이고, 문화고 행태며, 사회적 신뢰이고 인문학적 감성이기 때문입니다.

강의의 배경과 취지는 이처럼 전방위적으로 뻗어나가지만, 그 소재는 내가 긴 세월 이용했던 자영업체, 그 중에서도 특히 식당에 집중합니다. 이 공간들을 이용할 때마다 느꼈던 어떤 비평적 안타까움이 오래 쌓이는 중에 스스로 말길이 생겼던 것은 당연합니다. 이 문제의식은 우리사회의 총체적 웃자라기와 정신문화적 거침(荒)의 기원과 연결되었고, 누구든 시장자본주의를 피할 수 없는 이상, 거래와 환대의 윤리에 따른 고민 속에 이를 탐색해보지 않을 도리가 없습니다. 공부나 인문학은 무엇보다 ‘사람의 일’이고, 또 그것은 근사(近思)에서 시종(始終)하는 법입니다. ‘식당의 인문학’이란, 내적으로는 인문학의 성격에서 적실한 주제이며 외적으로는 한국사회의 일상을 어지럽히며 그 사회적 신뢰도를 훼손하는 당면과제이기도 한데, 이번 강의에서는, 식당의 문턱을 넘어서는 자가 겪어야만 하는 생활세계적 소외와 그 난맥상을 통해 다시 우리 자신의 자화상을 그립니다.

장소/ 서울 서촌, <문화공간 길담>

일시/ 2024/10/26(토), 오후 3시~6시 30분

정원/ 선착순 25명

신청, 문의/ 숙비, 010-2436-8760 (chodamy/daum.net)/ 

단빈, 010-7150-5441 (mhk97@naver.com)

회비/ 2~4만 (장소의 임대료 후원금입니다. 개인 사정에 따라 스스로 정해 입금해 주어요.)


[출처] k강의/ 식당의 인문학|작성자 찔레신


  1. 5월 24일(토) 인사동 강연, '윤석열 현상'과 한국적 교양의 실패

    Date2025.05.08 By[장숙藏孰] Views150
    read more
  2. 4월 장강 장소, <인사라운지> 오시는 길 안내 *사진첨부

    Date2025.04.13 By유재 Views283
    Read More
  3. 4월 19일 장강(인사동), "개념으로 길을 열고, 시(詩)로써 누리다"

    Date2025.04.05 By藏孰 Views302
    Read More
  4. 4월 장강

    Date2025.03.07 By簞彬 Views385
    Read More
  5. 2월, 서촌 장강 / 누적적 계기론

    Date2025.01.26 By簞彬 Views540
    Read More
  6. 25년 01월, 서촌장강 / 잔인하지않기’에서 신뢰까지

    Date2024.12.08 By孰匪娘 Views640
    Read More
  7. 11월, 서촌장강 / 해석하는 인간(homo interpretans)

    Date2024.11.14 By孰匪娘 Views545
    Read More
  8. 10월, 서촌장강 / 식당의 인문학

    Date2024.10.19 By孰匪娘 Views523
    Read More
  9. 9월, 서촌 강의/ 조각난 지혜로 세상을 마주하다

    Date2024.09.04 By孰匪娘 Views715
    Read More
  10. 8월, 서촌 강의/ ‘자득(自得)과 나의 공부길’

    Date2024.08.02 By孰匪娘 Views747
    Read More
  11. 2024년 7월 선생님 강의 장독藏讀(38회) 입니다.

    Date2024.06.26 By孰匪娘 Views772
    Read More
  12. 장독藏讀(37회)_ 후기

    Date2024.06.26 By孰匪娘 Views799
    Read More
  13. 2024년 6월 선생님 강의 장독藏讀(37회)입니다.

    Date2024.05.22 By孰匪娘 Views766
    Read More
  14. 2024년 5월, 선생님 강의, 장독藏讀(36회)입니다.

    Date2024.04.07 By孰匪娘 Views743
    Read More
  15. 장독藏讀(35회) 후기

    Date2024.04.07 By孰匪娘 Views745
    Read More
  16. 2024년 3월, 선생님 <서숙> 강연, 藏講(35회) 입니다.

    Date2024.03.12 By孰匪娘 Views669
    Read More
  17. 2024년 2월 k 강연(藏講 34회)

    Date2024.02.18 By찔레신 Views695
    Read More
  18. 藏孰江(10) 합리성과 자유, 혹은 商人과 匠人

    Date2019.09.20 By遲麟 Views1637
    Read More
  19. 藏孰江(9) 2019년8월23일(금) <글쓰기의(와) 철학: 내 글쓰기의 이력과 그 이후>

    Date2019.08.14 By藏孰 Views38564
    Read More
  20. 藏孰江(8) 2019년7월26일(금) <생각의 어리석음과 산책의 현명함>

    Date2019.07.16 By藏孰 Views13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