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5.02.24 14:42

端甫鉢文(1)

조회 수 4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장숙>에서는 형식과 내용의 공부를 병행합니다. 이는, 형식의 공부에 주안점을 둔다는 뜻입니다. 숙인의 자격으로 각별히 '태도'를 내세운 것이나, 공부의 알짬으로 '혼자 있을 때의 생활양식'을 강조한 것이 이러한 취지입니다. 수많은 독서모임처럼 책을 읽고 그 내용을 이해하는 게 <장숙>의 요령이 아닙니다. 공부에서 내용을 생략할 수 없지만, '형식'을 잃어버린 세속과 불화하는 중에 어렵사리 어울리게 된 곳이 <장숙>이기 때문이지요. 특히 신참 숙인들은 이 점을 명념해야 합니다. 


  1. 讀顔餘論 (1-5)

    Date2025.07.21 By찔레신 Views166
    Read More
  2. 經行을 해야 비로소 숙인입니다 (1-5)

    Date2025.04.15 By찔레신 Views591
    Read More
  3. 端甫鉢文(1)

    Date2025.02.24 By찔레신 Views416
    Read More
  4. 속속四術, 요령

    Date2025.01.01 By찔레신 Views506
    Read More
  5. 164회, 角端飛話 (1-6/계속)

    Date2024.06.03 By찔레신 Views695
    Read More
  6. 寂周經, 혹은 몸공부에 대하여 (1-6)

    Date2024.05.16 By찔레신 Views673
    Read More
  7. <장숙>, 2023년 (1-3)

    Date2022.12.26 By찔레신 Views556
    Read More
  8. 통신표(2022) (1-5/계속), Tempta Iterum !

    Date2022.01.06 By찔레신 Views728
    Read More
  9. '영원한 자기소개' (1-6)

    Date2020.06.10 By찔레신 Views9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