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里仁第四>

 

01/  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03/  子曰, “唯仁者能好人, 能惡人.”

04/  子曰, “苟志於仁矣, 無惡也.”

07/  子曰, “人之過也, 各於其黨. 觀過, 斯知仁矣.”

08/  子曰, “朝聞道, 夕死可矣.”

09/  子曰, “士志於道, 而恥惡衣惡食者, 未足與議也.”

12/  子曰, “放於利而行, 多怨.”

14/  子曰, “不患無位, 患所以立. 不患莫己知, 求爲可知也.”

15/  子曰, “參乎! 吾道一以貫之.” 曾子曰, “唯.” 子出, 門人問曰, “何謂也?” 曾子曰, “夫子之道, 忠恕而已矣.”

16/  子曰, “君子喩於義, 小人喩於利.”

17/  子曰, “見賢思齊焉, 見不賢而內自省也.”

20/  子曰, “三年無改於父之道, 可謂孝矣.”

22/  子曰, “古者言之不出, 恥躬之不逮也.”

24/  子曰, “君子欲訥於言而敏於行.”

25/  子曰, “德不孤, 必有鄰.”




窓間一蝨懸 

目定車輪大 

自我得此石 

不向花山坐 

(崔岦, 1539~1612), (簡易集)(焦眉錄), <(怪石)>




天下之事, 患不誠耳. 果誠也, 則無堅不破, 無頑不格.

 

(趙顯命, 1691~1752), (歸鹿集)(言事䟽)





 李匡師(1705-1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