孰人齋 落穗 (1)
해가 솟으며 높은 바람이 차츰 낮아진다
담요 하나를 울타리에 얹으니 햇살이 튄다
모란이나 작약처럼 꽃잎 넓은 풍경에는 늘 마음이 맺히지 않는다
그러나
사람의 마음이 닿지 않는 게 좋으냐,
그르냐
孰人齋 落穗 (1)
해가 솟으며 높은 바람이 차츰 낮아진다
담요 하나를 울타리에 얹으니 햇살이 튄다
모란이나 작약처럼 꽃잎 넓은 풍경에는 늘 마음이 맺히지 않는다
그러나
사람의 마음이 닿지 않는 게 좋으냐,
그르냐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157 | 103회 속속 별강, 답례를 해야 하는 절대적 의무 1 | 는길 | 2021.05.29 | 572 |
| 156 | 그대들이여, 돌아서지 마시기를 1 | 효신 | 2021.05.23 | 529 |
| 155 | 102회 속속 별강 <삶의 미학, 그 직관의 토양> | 내이 | 2021.05.14 | 499 |
| » | 孰人齋 落穗 (1), 2021/05/09 | 찔레신 | 2021.05.09 | 551 |
| 153 |
茶房淡素 (차방담소)-8-In vino veritas
|
효신 | 2021.05.02 | 548 |
| 152 |
茶房淡素 (차방담소)-7
|
효신 | 2021.04.18 | 487 |
| 151 | 빛나는 오늘 | 실가온 | 2021.04.16 | 435 |
| 150 |
99회 속속의 별강 <弋不射宿>
|
지린 | 2021.04.02 | 517 |
| 149 |
五問(8) - 날마다 근육통
|
隱昭(은소) | 2021.03.28 | 487 |
| 148 | 學於先學 4_ 다산과 신독 혹은 그의 천주에 관한 짧은 정리적·상상적 글쓰기 | 肖澹 | 2021.03.25 | 605 |
| 147 | 吾問-(7) 어떤 약함 | 隱昭(은소) | 2021.03.10 | 521 |
| 146 | 學於先學 3_ 茶山 丁若鏞,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를 읽고 | 肖澹 | 2021.02.17 | 872 |
| 145 |
절판된 책 제본신청 (그리고)
30 |
희명자 | 2021.01.31 | 1518 |
| 144 | 에고와 공부 | 영도물시 | 2020.12.25 | 538 |
| 143 | 茶房淡素 (차방담소)-6 | 효신 | 2020.12.13 | 525 |
| 142 | <91회 별강>집중에 들어서다-낭독하는 삶 | 효신 | 2020.12.11 | 522 |
| 141 | 踏筆不二(26) 林末茶烟起 | 지린 | 2020.12.10 | 480 |
| 140 | 吾問(6) - 노력의 온도 | 敬以(경이) | 2020.12.09 | 506 |
| 139 | <90회 속속 별강> 말(言)을 배운다 | 侑奏 | 2020.11.27 | 567 |
| 138 | 踏筆不二(25) 謫下人間 | 지린 | 2020.11.27 | 4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