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05.12 09:20

踏筆不二(13) 牧丹開

조회 수 10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8FrR2MbxcZu.jpg


*

52회 시독(時讀)은 밀양의 東庵(동암)-선생님 공부하시는 작은 암자-의 차방(茶房)에서 열렸습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般若心經(반야심경) 전문을 공부했는데, 

그 사이에 속속에서 “부처님의 생애”를 공부했던 까닭이 있기도 하지만,

한 자 한 자가 속속 저의 깜냥만큼 잘 이해가 되었습니다. 

또 서거정(徐居正)의 아래와 같은 시 한 수도 함께 배웠습니다.


讀李白淸平調

風流誰似謫仙才

天子呼來醉似頹

高調淸平擅今古

沈香亭北牧丹開

이백의청평조를읽다

풍류는누가귀양온신선의재능을닮겠는가

천자가불러오라해도취해쓰러질듯하여

고아한노래청평(淸平)은예나지금이나제멋대로인데

침향정(沈香亭)북쪽엔목단이피네


*

“예나지금이나 제멋대로인데, 목단이 피어난다”는 서거정의 시에서

선생님한테서 배웠던 추사의 “不計工拙”이 떠올랐습니다. 

서거정은 이백의 시심(詩心)을 다시 꽃피워내고 있었습니다. 


*

홀로 공부하시는 작은 암자의 일부를 열어 저희를 맞아주신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두서너 시간 소란하게 해드린 것 같아 송구하면서도, 짧고, 오월 어느 날 한나절의 무척 즐거운 소풍시독이었습니다. 동행동학들께도 감사드립니다.




  • ?
    토우젠 2020.05.13 10:44
    오늘날에 풍류도의 모습을 잠시 상상해 보았습니다.
    늦봄 볕을 쬐면서 물가에 앉아 시를 읊고, 또 무엇을 할까요.
    반야심경을 공부하신 소회도 궁금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 낭독적 형식의 삶 *2기 신청마감 file 는길 2023.05.24 227
215 [一簣爲山(03)-서간문해설]與李景魯 2 file 燕泥子 2021.06.29 227
214 당신이 말이 되어 건네오면 2 file 효신 2021.06.15 225
213 115회 별강 <경험가설> 1 지린 2021.11.12 224
212 Hirt der Sprache 3 형선 2019.02.27 224
211 길속글속 140회 별강 ---그대, 말의 영롱(玲瓏) file 지린 2022.10.28 223
210 行知(3) 서재 2 file 희명자 2020.05.08 223
209 변명과 핑계없는 삶 오수연 2018.09.14 223
208 103회 속속 별강, 답례를 해야 하는 절대적 의무 1 는길 2021.05.29 220
207 113회 속속 별강 <눈을 감고 심호흡을 하면> 1 약이 2021.10.15 217
206 (155회 속속 硏講) 가장자리에서 지린 2023.06.10 216
205 Japan and, the Shackles of the past file 는길 2021.10.20 216
204 <107회 별강 > 1 해완 2021.07.22 214
203 공자님, 2 희명자 2019.12.04 214
202 わたしは燕泥子です 1 찔레신 2020.04.28 213
201 에고와 공부 영도물시 2020.12.25 212
200 [一簣爲山(09)-서간문해설]與趙重峰憲書 file 燕泥子 2022.02.21 211
199 그대들이여, 돌아서지 마시기를 1 효신 2021.05.23 211
198 [나의 지천명]_2. 안다는것 3 燕泥子 2020.06.14 211
197 (희명자 연재) 行知(1) 듣기의 수행성 1 희명자 2020.04.10 211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