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53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동학의 빛에 의지하여 공부하는, 처음 열리는 () 속속의 자리, 숙인재 도착 후 서둘러 청소를 끝내고 한결 차분해진 차방에 모두 둘러 앉아 차마, 깨칠 뻔하였다를 돌아가며 낭독하였습니다. 조금만 딴 생각하면 글자와의 빈틈없는 관계가 일시에 무너지고야 마는, 무사의 결투같은, 하여 변명이 틈입할 여지가 없는, 낭독 안에서, 한 문장을 발화하는 나의 말에 이어, 죽비처럼 훅 내리치듯 이어지는 동학들의 다음 문장으로, 서로의 에고를 잠시 내려놓고 K 선생님의 문장들을 차마, 깨칠 뻔하였습니다.

 

변명을 하지 않는 자는 낭독을 한다. (‘낭독이라고 했지만 정확히는 낭독적 형식의 삶일 것이다.) 변명의 고질인 변덕과 자기중심성(egocentrism)에서 벗어나려는 자는 낭독을 선택한다. 이런 뜻에서 낭독의 본령은 에고를 넘어서는 일이며, ‘공부의 취지를 압축한다. 낭독은 입 밖으로 소리를 내보냄으로써 그 자리에서, 그 순간에 자신의 운명을 단발로 마무리하는 행위다. 입을 벌리지 않을 수도 없고 입을 고쳐 벌릴 수도 없다. 오직 애초에 정한 대로 발성해야 한다. ‘()한 대로일 뿐이다. 정한 대로 하는 게 낭독이다. 애초에 정한 구속에 집중하고 그 구속에 따라가는 행위가 낭독이다. 애초에 정한 모든 약속을 음성 하나에 온전히 기입해야 하는, 점점이 계속되는 숙명이 낭독이다. 물론 인생은 정한 대로 진행되지 않는다. 내가 다른 책에서 인생살이의 본질을 어긋남으로 정식화하기도 했듯이, 사람들의 세속은 정한 대로 되지 않으며 사람의 마음은 늘 변덕을 부린다. 역설적이게도 낭독의 비밀은 거기에 있다. 어긋남의 세속을 살아가는 어떤 한 인간이 변덕의 광장에서 벗어나 외줄타기 형식으로 이루어진 발성에 집중하면서, 그 집중 속에서 스스로 구속되고, 그 구속의 좁은 문에서 열릴 자유의 빈자리를 예감할 수 있다면, 그는 변명을 넘어 아득히 나아간 것이며, 자신도 모른 채 영혼이 움틀 수 있도록 애쓴 것이다. 변명하는 삶을 탈피하고자 한다면 낭독하는 삶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그 삶의 핵심은 에고의 번란한 생각을 아득히 넘어서는 집중의 차분한 지속이다.

집중과 영혼, 574-575



그동안 차담을 주로 나누었던 차방이 낭독의 장소, 적경의 장소, 평인의 장소로, 바뀌어가며, 그 장소에서의 어울림이 장소의 색조와 농도를 짙게 하는, 극진함으로 촘촘히 엮인, 한 고대의 시공간 속에 머물렀습니다.


* 동학들에게 한 가지 부탁드립니다.


이번 교재 후기는 베버의 이 한 문장(단락)!으로, 베버를 읽으며 가장 밑줄 치고 싶었던 부분을 댓글로 올려 주었으면 합니다. 얽힌 실타래 같은 세계 종교를, 직업으로서의 학문과 정치를,  엄밀한 분석틀로 설명해 나가면서도 어느 부분에서인가는 시인으로 화하는 베버의 서술을 같이 나누며 오래도록 기억해 보려 합니다.  

 

 

  • ?
    지린 2023.03.16 10:58
    즉 유기적 삶의 행로의 모든 섬세한 뉘앙스들을 함께 체험하면서 <최고령의 매우 쇠진한 경지까지> 책임을 의식하는 사랑의 감정의 변주곡 안에서, 그리고 (괴테가 말했듯이) 서로 아량을 베풀고 또한 서로 빚을 지는 과정 안에는 무언가 특이하고 또 지고의 것이 놓여 있을 수 있다는 느낌, 물론 삶이 이런 느낌을 순수한 모습으로 가져다주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그리고 이런 느낌을 선사 받는 자는 이것이 운명이 가져다 준 행운과 운명의 은총의 덕분이라고 말해야지 자기 자신의 <업적>이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

    삶이 가진 가장 격렬한 체험방식들, 즉 예술적 그리고 에로틱한 체험 방식에 대한 어떠한 자연스러운 헌신도 거부하는 태도는 그 자체로서는 부정적 태도에 지나지 않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비합리적 체험방식에 대한 ]이와 같은 부정적 태도가 윤리적 차원 및 동시에 순수한 지적 차원에서 인간의 정신적 기력(氣力)이 합리적인 활동이라는 궤도로 더욱더 많이 흘러 들어가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탈주술화' 과정과 근대> 262-263
  • ?
    윤경 2023.03.16 13:44

    퀘이커 윤리가, 결혼의 의미에 대한 상당히 거친 루터식의 해석을 넘어서서, 결혼의 내적 종교적 가치에 대한 진정으로 인간적인 해석을 아마도 가장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우일 것이다. 순수하게 현세 내적으로 보면, 서로에 대한 윤리적 책임성 - 이것은 순수하게 에로틱한 영역과는 양립할 수 없는 이질적인 관계범주이다 - 이라는 이념과의 연계만이 결혼에 대해 아래와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즉 유기적 삶의 행로의 모든 섬세한 뉘앙스들을 함께 체험하면서 <최고령의 매우 쇠진한 경지까지> 책임을 의식하는 사람의 감정의 변주곡 안에는, 그리고 (괴테가 말했듯이) 서로 아량을 베풀고 또한 서로 빚을 지는 과정 안에는 무언가 특이하고 또 지고의 것이 놓여 있을 수 있다는 느낌. 물론 삶이 이런 느낌을 순수한 모습으로 가져다주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그리고 이런 느낌을 선사 받는 자는 이것이 운명이 가져다 준 행운과 운명의 은총의 덕분이라고 말해야지 자기 자신의 <업적>이라고 말해서는 안된다. 


    <탈주술화 과정과 근대>, 262-263쪽

  • ?
    수잔 2023.03.16 22:24

    사회적 명예와 권력을 확고하게 소유하고 있는 계층은 자신에게 내재하는 하나의 특별한 자질, 대부분의 경우 혈통이라는 자질을 중심으로 신분적 신화를 지어내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자신의(실재적 또는 가상적) 존재 그 자체가 이들의 자존심에 자양분을 주는 것이다. 이에 반해 사회적으로 억압받거나 또는 신분상으로 부정적 (아니면 적어도 긍정적이지 못한) 평가를 받는 계층은 자신의 자존심을 자신에게 맡겨진 하나의 특별한 <사명>에 대한 믿음에서 도출하기 십상이다. 그래서 이 계층에 있어서 자신의 가치를 보장하거나 또는 이 가치를 구성하는 것은 [자신의 존재 그 자체가 아니라] 자신이 [윤리적으로] 마땅히 해야할 바, 즉 당위 또는 스스로의 직무상의 성취 그 자체이다.

    이로 인해 이 계층 구성원들의 존재 가치는 인간을 초월한 어떤 것, 즉 신이 그들에게 부여한 <임무>에 기반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윤리적 예언들은 (다른 계층에게보다는) 우선 사회적으로 덜 혜택받은 자들에게 이념적 힘을 발휘할 수 있었던바, 따라서 여기서 원한이라는 요소가 지렛대로 필요하지는 않았다. 다시 말하여, 물질적 그리고 이념적 보상에 대한 합리적 관심 그 자체만으로도 완전히 충분했던 것이다.

    『‘탈주술화’ 과정과 근대』, 185쪽


    (단락이 길어 나누어 기록했습니다.)

  • ?
    는길 2023.03.17 10:11
    윤경씨, 참여형 후기라니요. 룰루랄라 '재미'에, '의미'와 '실효'까지 자극이 되어요. 댓글 초대 고맙습니다 !
    저는 [4장 중간고찰 - 종교적 현세거부의 단계와 방향에 대한 이론] '3. 현세거부의 방향' 중, '2) 경제적 영역'에 관한 서술 부분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상기한 긴장을 원칙적으로 그리고 내적으로 피하는 데는 단지 두 가지 일관된 길만이 있었다. 그 하나는 청교도적 직업윤리의 역설이다. 대가(大家) 종교적인 이 윤리는 사랑의 보편주의를 포기하고, 이 세상에서의 모든 활동을 신의 의지에 대한 봉사로, 즉 그 궁극적 의미는 이해할 수 없지만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유일한 구체적 신의 의지에 대한 봉사로 이해하고 또한 현세적 활동을 자신의 은총상황에 대한 시험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면서 청교도윤리는 현세의 모든 활동을 합리적으로 객관화하고 이와 함께, 현세 전체와 마찬가지로 비천하고 타락한 것으로 평가 절하된 경제적 세계도 신의 의지가 깃든 곳으로 수용하고 또한 의무완수의 대상으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궁극적으로는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그것도 모든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목표로서의 구원을 원칙적으로 포기하는 태도이며, 이러한 보편적 구원 대신 그 이유를 알 수는 없지만, 그러나 항상 단지 특수한 사람에게만 주어지는 은총을 지향하는 태도이다. 사실 이러한 비형제애적 입장은 더 이상 진정한 <구원종교>는 아니었다. 진정한 구원종교에서는 단 하나의 길, 즉 형제애가 <자비>로 승화되는 길밖에 없다. 이 자비란 신비주의자의 무차별적 사랑이 극히 순수하게 체현하고 있는 그러한 <자비>이며, 자신이 희생적으로 봉사하는 인간에 대해 [그가 누구인지] 전혀 묻지 않으며, 궁극적으로는 이 인간에 대해 거의 관심이 없는 <자비>, 길에서 우연히 만난 사람이 - 이 사람이 누구든 간에, 그리고 단지 그를 길에서 만났다는 이유 하나 때문에 - 외투를 요구하면 외투뿐 아니라 내의까지 벗어주는 그러한 <자비>이다. 이것은 어떤 임의의 사람에게도 베푸는 대상 없는 헌신이라는 형태의 특이한 현세도피로서 이 헌신은 인간을 위한 헌신이 아니라 헌신 그 자체를 위한 헌신인바, 보들레르의 말을 빌자면 <영혼의 성스러운 매음(賣淫)>을 위한 헌신이다.'

    <탈주술화 과정과 근대>, 238-239쪽
  • ?
    肖澹 2023.03.17 11:52
    만약 행동적 금욕주의가 현세 내에서 이 현세를 합리적으로 관장하면서 세속적 <직업>에서의 노동을 통해 피조물 특유의 타락성을 억제하도록 작용하고(현세 내적 금욕주의), 신비주의는 근본적 현세도피를 철저히 실행할 경우(현세 도피적 명상), 상기한 차이는 극단적 차이가 된다. 그러나 만약 금욕주의가 '현세 도피적 금욕주의'의 방향을 취하고 신비주의가 '현세 내적 신비주의'로 발전할 경우, 금욕주의와 신비주의간의 차이점은 약화된다.

    현세 내적 금욕주의자가 보기에는 신비주의자의 태도는 나태한 자기향락이며, 신비주의자가 보기에는 (현세 내적으로 행동하는) 금욕주의자의 태도는 우쭐한 독선에 가까운 태도이며, 신과는 소원한 세상만사에 휘말린자의 태도이다. 흔히 전형적인 청교도의 특성이라고 간주되는 예의 그 <행복한 편협성>을 가지고 현세 내적 금욕주의자는 피조물세계의 질서들, 즉 신이 규정한 합리적 질서들 내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신의 의지를, 비록 그 궁극적 의미를 알 수는 없지만, 그러나 분명히 존재하는 신의 의지를 실행하는 것이다.

    <'탈주술화' 과정과 근대> 228-2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148회 속속(2023/03/04) 후기 5 윤경 2023.03.16 253
260 장독후기 (20회), 2023/2/26(일) 2 簞彬 2023.03.07 250
259 147회 속속(2023.02.25.) 후기 file 윤경 2023.03.03 232
258 서평, <적은 생활...>/ '소나기' 찔레신 2023.02.22 226
257 글속길속 147회, ‘말하기 심포지움’ 별강문 는길 2023.02.18 194
256 길속글속 147회 '말하기 심포지움' 별강문 --- 말을 할 수 있었다면, 肖澹 2023.02.17 203
255 길속글속 147회 '말하기 심포지움' 별강문 --- 잘 말하기 위한 노력들 燕泥子 2023.02.17 214
254 길속글속 147회 '말하기 심포지움' 별강문 --- '말(言)'을 하기 위하여 나는 무엇을 했는가 유재 2023.02.17 192
253 길속글속 147회 '말하기 심포지움' 별강문 --- 말하기와 관련한 작은 노력들 수잔 2023.02.17 245
252 [一簣爲山(20)-서간문해설]與吳生 file 燕泥子 2023.02.06 138
251 곱게 보기/ 수잔의 경우 file 찔레신 2023.02.05 270
250 '밟고-끌고'의 공부길,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lector 찔레신 2023.02.05 226
249 길속글속 146회 연강(硏講) --- 해와 지구 그리고 달 1 file 수잔 2023.02.03 245
248 낭독적 형식의 삶 9 file 는길 2023.01.31 473
247 정신을 믿다 file 는길 2023.01.15 309
246 145회 속속 별강문 게시 1 유재 2023.01.06 236
245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청라의 독후감 1 찔레신 2023.01.03 381
244 금요일 아침, 알면서 모른 체 하기에 대한 단상 실가온 2022.12.30 226
243 <장숙>, 2023년 (1-3) file 찔레신 2022.12.26 339
242 <적은 생활...> 서평, 중앙일보 양성희 기자 찔레신 2022.12.12 285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6 Next
/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