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9.05.22 10:33

부재(不在)하는 신

조회 수 209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그림2.jpg


 

어느 가정을 덮친 폭력과 혼돈의 현장에 있어주기를, 골수암으로 자식을 떠나보내던 어미의 기도에 있어주시기를, 아니면, 오래된 상처의 주술적 반복... 스스로 끊을 수 없어 보이던 그()의 상처를 돌봐주시기를. 

동일시되었던 만큼 무섭고 간절했던 순간들이었다. 잠이 깨고 기도가 터져나오던 사건들 때문에 어깃장 놓으며 기도를 지웠던 시간을 지나 다시 무릎을 꿇었고 두 손을 모았다.  언제나처럼 신은 부재했다. 덕분에 걸음이 빨라졌다.

“...교회도 안가고 기도도 안 해. 신적인 존재에, 누군가에게 기대는 것 이전에 나 스스로 사랑하고 스스로 일어서려고 해” A의 문자를 받아 읽으며, 새삼 부재하던 내 신의 이력에 잠긴다. 선생님께서는 사전을 찾을 때, 무엇을 모르는 그 순간이 죄 없는(덜한) 순간이라고 말씀하셨는데, 돌이켜보니 내게는 기도할때가 그래도 죄가 덜한 순간이었다.


신 없이 걷는다. 하지만 이 길 끝에 내 힘으로 건널 수 없는 강이 있다는 것을 안다. 아니, 오늘 내 속에도 내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가. 무능이 변명이 되지 않도록 힘써 걷고 또 걷다보면, 무망(無望)속에 기도를 놓을 수 있을까.  잘 봐주시라, 조금만 도와주시라, 도우려했다는 것을 조금만 알아주시라는 기도를.



  • ?
    토우젠 2019.05.22 13:22
    여러 갈래의 능선이 있고 그 길을 오르는 사람들, 사람들. 세상의 끝에 서서 다시 길을 내어 갈 사람들, 사람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學於先學 4_ 다산과 신독 혹은 그의 천주에 관한 짧은 정리적·상상적 글쓰기 肖澹 2021.03.25 303
35 [一簣爲山(01)-서간문해설]與栗谷書 10 file 燕泥子 2021.06.15 303
34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청라의 독후감 1 찔레신 2023.01.03 308
33 엄마의 서재(1) '연구'라는 공부-활동 1 file 는길 2022.01.12 320
32 114회 별강-<유령들의 요청> 실가온 2021.10.28 322
31 (身詞) #1. 글쓰기의 어려움 4 榛榗 2019.11.05 334
30 Dear 숙인, 10 file 형선 2019.08.06 335
29 <藏孰> 천안시대, 晦明齋를 열며 2 file 찔레신 2019.07.11 338
28 遲麟과 는길, 豈忘始遇高岐境 3 file 찔레신 2021.12.31 338
27 (속속 130회 별강) 정서가 자란다 file 는길 2022.06.11 344
26 깨진 와인잔 2 簞彬 2022.01.14 347
25 <동무론>, 전설의 책 ! 3 file 찔레신 2022.10.04 359
24 연극적 실천이 주는 그 무엇 하람 2018.09.13 363
23 110회 속속 별강 <변신(變身)하기 위해 장숙(藏孰)에서 장숙(藏熟)하기> 2 수잔 2021.09.03 378
22 악마는 호박죽을 먹는다 2 실가온 2022.01.18 393
21 '글쓰기'라는 고민 해완 2022.01.05 406
20 낭독적 형식의 삶 9 file 는길 2023.01.31 409
19 통신표(2022) (1-5/계속), Tempta Iterum ! 찔레신 2022.01.06 416
18 踏筆不二(23)-깨진 기왓장과 넝마 지린 2020.11.03 426
17 花燭(화촉) file 형선 2019.06.20 466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