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06.28 23:59

우리의 아이

조회 수 129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별이라고, 달이라고

어둠이라고, 게으르다고

달리는 열차 속에서, 기껏 

우리는 스치는 꿈만 꾼다


아이가 묻는다

옹알거리다가 수줍게 

“왜 저는 질문하는 생물인가요.”

네가 모르는 것을 내가 어떻게 알 수 있겠니

나는 두 번, 세 번, 네 번을 반복하지 못하는 

손가락


샘,샘

저는 지구를 돌아다니며

하다못해 저기 저 별에 가서도 

씨를 뿌릴 거에요. 

두고 보세요, 저를 

인간과 사물의 아이를 낳을 거에요


허리가, 다리가 직선으로 자라고

우리는 점점 가까운 풀의 이름조차 잊어버리고

가득한 의지로 망가져 가다

고양이의 등허리를 쓰다듬을 뿐

너는 아랑곳하지 않으며 손 길 속에 오수속으로 

빠져든다


Summer night

Summer night


홈, 홈

잠들지 못하는 너는 

무엇이 되어 빛을 내는가

  • ?
    희명자 2020.07.01 21:03
    토우젠의 詩를 기다렸답니다.
    아마, 시를 다시 읽고 싶어서, 홈페이지에 재차 들어오는 분이 저말고 또 있을 듯.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 (속속 130회 별강) 정서가 자란다 file 는길 2022.06.11 344
215 千散族和談 1. 세월, 1880년 file 肖澹 2022.06.01 187
214 [一簣爲山(14)-서간문해설]與鄭士誠士慎 file 燕泥子 2022.05.29 247
213 essay 澹 5_自得(2)_ 성장 · 성숙 · 성인(2-1) 肖澹 2022.05.28 149
212 [一簣爲山(13)-서간문해설]與金惇敘(2) file 燕泥子 2022.05.16 231
211 별강 실상사의 봄 零度 2022.05.13 189
210 1936년 4월 4일(일), 버지니아 울프의 일기 지린 2022.04.24 238
209 [一簣爲山(12)-서간문해설]與金惇敘 1 file 燕泥子 2022.04.18 188
208 생명의 나무 (1) 1 file 燕泥子 2022.04.14 235
207 essay 澹 4. 自得(1)_물화物化와 인정 1 肖澹 2022.04.14 171
206 [一簣爲山(11)-서간문해설]與牛溪書 2 file 燕泥子 2022.04.05 287
205 네가 연 창문으로 1 실가온 2022.04.04 167
204 125회 별강 <소송하는 여자> 燕泥子 2022.04.01 182
203 횡단보도를 마주하고 file 지린 2022.03.26 123
202 [一簣爲山(10)-서간문해설]寄亨南書 file 燕泥子 2022.03.22 135
201 124회 별강 존재에서 느낌으로 ,그리고 앎(지식)으로 懷玉 2022.03.18 148
200 산행 는길 2022.03.16 190
199 근사(近思) 지린 2022.03.12 138
198 123회 <별강>-과거의 눈빛 실가온 2022.03.05 193
197 essay 澹 3. 安寧 肖澹 2022.03.03 196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