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85회 속속의 詩시간에 발표되는 우리한시는,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詩書畵가 뛰어나서 삼절(三絶)이라고 불렸다던 신위(申緯,1769~1845)의 시 <西京次鄭知常韻>입니다. 詩人은 영조45년에 태어나서 헌종 11년에 돌아가셨는데, (참고로, 85회 속속의 영시 시인인 바이런과 동시대의 사람입니다), 1812(순조12)년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이력이 있는 분입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시는 서경(평양)에서 고려의 시인 정지상(鄭知常, ?~1135)의 시를 차운하여 쓴 것입니다. 신위가 태어나는  해로부터 634년 전쯤에 서경이 고향이었던 고려의 뛰어난 시인, 정지상은 정적(政敵)으로부터 죽임을 당했습니다. 그런데도 두 시인의 시를 가만히 읽어보면, 시의 화자들이 여전히 낮고 그윽한 대화를 나누고 있는 것 같습니다.


*

大同江

鄭知常


雨歇長堤草色多

送君南浦動悲歌

大同江水何時盡

別淚年年添綠波

비개인긴강둑에풀빛더하고

님보내는남포에슬픈노래생겨나네

대동강물은언제마르겠는가

이별눈물해마다푸른물결에더하는데


西京次鄭知常韻

申緯


急管催觴離思多

不成沈醉不成歌

天生江水西流去

不爲情人東倒波

급한피리소리잔비우기를재촉하니이별의쓸쓸함더하고

깊이취하지도못하고노래를부를수도없는데

어쩔수없이강물은서쪽으로흘러가

그대위해동쪽으로거슬러흐르지는못한다네


*

차운(次韻)된 글자는 多,歌,波로 세 자입니다.

세 마디의 같은 “소리”를 붙잡고 서로의 마음이 흐르고 있습니다. 




  1. 行知(6) 후배-되기

  2. No Image 03Jul
    by 희명자
    2020/07/03 by 희명자
    Views 146 

    行知(7) '거짓과 싸운다'

  3. No Image 18Jul
    by 희명자
    2020/07/18 by 희명자
    Views 162 

    行知(8) '마테오리치'와 '현장법사'를 마무리 하는 별강문

  4. 行知(9) <속속, 2017년 겨울>

  5. 訓民正音, 혹은 세종의 고독 (1-5)

  6. 詩 하자_ <봄날은 간다>

  7. 踏筆不二(0)

  8. 踏筆不二(1)

  9. 踏筆不二(10) 破鱉千里

  10. 踏筆不二(11) 米色

  11. 踏筆不二(12) 聖人의 時間

  12. 踏筆不二(13) 牧丹開

  13. 踏筆不二(14) 瑞麟

  14. 踏筆不二(15) 曉乃還

  15. 踏筆不二(16) 耿耿

  16. 踏筆不二(17) 존재(Sein)와 당위(Sollen)

  17. No Image 11Sep
    by 지린
    2020/09/11 by 지린
    Views 116 

    踏筆不二(18) 一句

  18. No Image 17Sep
    by 지린
    2020/09/17 by 지린
    Views 129 

    踏筆不二(19) 天生江水流西去

  19. 踏筆不二(2)

  20. No Image 28Sep
    by 지린
    2020/09/28 by 지린
    Views 123 

    踏筆不二(20) 詠菊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