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2.03.12 07:14

근사(近思)

조회 수 1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숙인재에서 () 천산족 모임이 열렸습니다. 저는 어떤 바람이나 한 점 기대도 없이 천산족 모임에 참여를 하였습니다. 고요하고, 환한 방 한 칸이 있어서, 바쁘지 않게, 마음이 맞는 사람들 서넛이 모여 앉아서, 한나절 모여 앉아서, 차를 마시며 도란도란 책을 읽으며,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으면 좋겠다, 는 옛 바람이 기억나기도 했습니다. 숙인재는 방이 많으니 이 작은 바람은 크게 이루어진 셈입니다. 차방에서 책을 읽으면서도, 명상방에서 읽을까? 강의장에서 읽을까? 숙인방에서 읽을까?, 하는 말을 했는데, 왠지 호사스럽게 여겨졌습니다. 삶과 사람에 대한 저의 옛 기대들도, 그리고 병적이었던 오랜 기다림도, 전봇대나 빨간 우체통이 서 있는 풍경처럼 지나가버렸습니다. 이제는 숙인재 화장실의 흰 휴지통이 깨끗하게 잘 닦여 있는 것이나, 신발장 안에 보관되어 있는 쓰레기종량제봉투가 훨씬 나은 방식으로 정돈되어 있는 모습이, 지나가버린 어떤 기대나 이미 스러져간 숱한 기다림보다 저를 훨씬 더 기쁘게 하였습니다.

 

천산족 모임에서는 오만과 편견』, 『세월』, 『벨자를 읽고 있습니다.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1813년에 첫 출판되었습니다.

버지니아 울프의 세월1937년에 첫 출판되었습니다.

실비아 플라스의 벨자1963년에 첫 출판되었습니다.

우리가 이 여성작가들의 문장을 읽자마자, 이 사람들은 그녀들이 딛고 살았던 그 시간과 그 "곳"을, 그리고 날카롭고 아름답게 그녀들 자신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지성의 힘으로, “근사(近思)”, “자신의 발밑을 내려다보고 있었습니다. 날 보지 말고 내가 무엇을 했는지 봐! 새 바람이 생깁니다. 압도되지 않으면서도, 그녀들의 문장을 통해서 우리 자신을 말해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한 발만이라도 들어, 그 밑을 대면할 수 있는 용기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1. < 86회 별강> 타자, 그 낯섦의 구원

    Date2020.09.25 By해완 Views147
    Read More
  2. <107회 별강 >

    Date2021.07.22 By해완 Views217
    Read More
  3. <82회 별강> 여자의 말을 배운다는 것

    Date2020.08.01 By燕泥子 Views193
    Read More
  4. <83회 별강> 능력주의 신화는 아직도 진행 중?

    Date2020.08.14 By冠赫 Views196
    Read More
  5. <84회 별강> 2년 6개월 공부의 성과와 위기

    Date2020.09.03 By懷玉 Views482
    Read More
  6. <89회 속속 별강> ‘約已, 장숙(藏孰) 가다’

    Date2020.11.12 By약이 Views289
    Read More
  7. <90회 속속 별강> 말(言)을 배운다

    Date2020.11.27 By侑奏 Views186
    Read More
  8. <91회 별강>집중에 들어서다-낭독하는 삶

    Date2020.12.11 By효신 Views165
    Read More
  9. <藏孰> 천안시대, 晦明齋를 열며

    Date2019.07.11 By찔레신 Views338
    Read More
  10. <동무론>, 전설의 책 !

    Date2022.10.04 By찔레신 Views360
    Read More
  11. <장숙>, 2023년 (1-3)

    Date2022.12.26 By찔레신 Views258
    Read More
  12.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청라의 독후감

    Date2023.01.03 By찔레신 Views308
    Read More
  13. <적은 생활...> 서평, 중앙일보 양성희 기자

    Date2022.12.12 By찔레신 Views195
    Read More
  14. <조선, 1894 여름> 의제

    Date2020.07.30 By지린 Views55
    Read More
  15. <최명희와 『혼불』제1권> 발제문을 읽고

    Date2024.03.29 By는길 Views138
    Read More
  16. <틈셋학교>를 연기합니다,

    Date2020.02.21 By희명자 Views299
    Read More
  17. '글쓰기'라는 고민

    Date2022.01.05 By해완 Views406
    Read More
  18. '밟고-끌고'의 공부길,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lector

    Date2023.02.05 By찔레신 Views124
    Read More
  19. '실력 있음"이 죄가 될 때

    Date2020.06.24 By해완 Views166
    Read More
  20. (155회 속속 硏講) 가장자리에서

    Date2023.06.10 By지린 Views2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