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60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虛室'' essay_

겸허함이 찾아드는 순간.

    

- 아무도 깨어있지 않은 새벽에 홀로 깨어 주방의 낮은 조명을 켜고 식탁의자에 앉아 책을 편다. 잠에 덜 깬 졸린 눈을 부빈 후 허전한 손을 한 번 바라보고, 아직 멍한 뇌를 한 번 생각하고, 향긋하게 그 시간을 채워줄 무언가를 찾는다. 째깍째깍 가는 시간이 아까워 책에 시선을 한 번 줬다가 이내 일어나 머그컵을 찾아들고는 어쩔 수 없는 끌림으로 커피를 내려 손에 든다. 다시 앉은 식탁의자는 이전보다 따뜻하고 낮은 조명에 그윽한 향기가 스며 이제 무언가 된 듯 싶다. 펼친 책을 가만히 바라본다. 하지만 이내, 언제나 그랬듯, 펼친 책의 활자를 만나기도 전에 상념들이 먼저 찾아와 온 신경을 그리로 몰아간다. 언젠가부터 베인 나쁜 습이다. 엉킨 실타래처럼 꼬인 상념들이 불러들인 얼굴들은 언제나 늘 몽땅 무표정 하다. 그리고 그 무표정의 얼굴들에 덧씌우는 감정의 파노라마는 어느새 그 공간에서 나를 빼내어 감정의 홍수 속에 몰아넣는다. 오롯이 나를 위한 시간과 공간이 온갖 감정의 오물 속에 파묻힌다. 미워하고, 좋아하고, 질투하고, 슬퍼하고, 원망하고 , 자책하며, 너는 왜를 외친다. 시커먼 굴속에 갇혀, 감정의 웅덩이에서 나오려 그렇게 발악한다. 발악하는 줄도 모르고 발악한다. 그러다 무심코 뻣은 손에 닿은 커피를 한 모금 마시며 자각한다. 아 나는 또 함정 같은 상념의 그늘 속에 빨려 들어가 있었구나! 곧 이어 뒤따르는 비난. 너는 이 시간을 또 허투루 흘려보냈구나. 너는 또 그렇게도 어찌할 수 없었구나.

 

- 그런 순간들이 있다. 헤어 나올 수 없는 수렁에 빠진 몸뚱이를 송두리째 잡아채어 끌어올려 줄 그런 이 찾아드는 순간. 늘 하던대로(습관) 하던 육신을 잠시 내려놓고 정신을 그 에 집중한다. 겸허하게. 흘러가는 시간이라 내게 왔던 시간을 이번에는 다르게 맞이해 본다. 겸허하게. 살아지던 육신이라 그냥 살던 그 습의 고리를 끊고 공간을 다르게 맞이해 본다. 겸허하게. 삶에 둘레가 차분해지고 상념이 사라지는 순간이다. 그 마른 따뜻함을 간직한 긴장감을 유지한 채 한 발 한 발 조심스레 흘러가는 시간에 응하고 자리한 공간에 응한다. 겸허하게.... 온통 밖으로 향했던 시선들을 지금 여기의 내게로 돌려 그곳이 장소가 되는 순간을 모른체한다. 그리고 그 순간을, 가만히 머문다.

 

오래 지속되기 어려운 그 찰나의 순간들이 모여 장소의 길을 만들고 책의 집으로 정신을 인도한다.

몸이 겸허해질 때 가져다주는 선물, 집중의 시간.

  • ?
    敬以(경이) 2019.11.01 10:28
    '금기'는 '근기'를 만들어 내는 것일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그 집중의 시간, 응원합니다. ^-^
  • ?
    토우젠 2019.11.01 15:32
    납작 엎드려 복종하고 싶을 때가 있어요. 프로이트는 “집단은 복종하고자 하는 열망을 갖고 있다.”(문명속의 불만)라고 그 근원을 폭로해서 복종의 경계에 달뜬 인간을 부끄럽게 했지만서도, 虛室의 그 흰 빛에 사로잡히고 싶을 때가 있어요.
  • ?
    遲麟 2019.11.05 08:06

    "아무도 깨어있지 않은 새벽에 홀로 깨어 주방의 낮은 조명을 켜고 식탁의자에 앉아 책을 편다."


    어둠이 가시면서 푸른 새벽이 오기 직전에는

    편경(編磬)에 매달린 돌의 색깔 같은 흰 새벽이 있습니다.
    허실(虛室)과도 같고
    唯一한




  1. 빛나는 오늘

    Date2021.04.16 By실가온 Views151
    Read More
  2. 150회 속속(2023/04/01) 후기_“저 사람을 따라가야 한다.”

    Date2023.04.14 By윤경 Views151
    Read More
  3. 속속 157~159회 교재공부 갈무리] 촘스키-버윅 vs. 크리스티안센-채터, 혹은 구조와 게임

    Date2024.03.05 By유재 Views152
    Read More
  4. [一簣爲山(22)-고전소설해설] 崔陟傳(1)

    Date2023.05.30 By燕泥子 Views153
    Read More
  5. 寂周經, 혹은 몸공부에 대하여 (1-6)

    Date2024.05.16 By찔레신 Views153
    Read More
  6. 별강 아름다움에 관하여

    Date2022.12.09 By零度 Views154
    Read More
  7. 行知(4) 여성

    Date2020.05.22 By희명자 Views155
    Read More
  8. 금요일 아침, 알면서 모른 체 하기에 대한 단상

    Date2022.12.30 By실가온 Views155
    Read More
  9. 서평, <적은 생활...>/ '소나기'

    Date2023.02.22 By찔레신 Views155
    Read More
  10. 왜 소개하지 않았을까? (속속 151회 연강글)

    Date2023.04.15 By는길 Views155
    Read More
  11. 다시 기억하며

    Date2019.04.10 By형선 Views156
    Read More
  12. 말로 얻은 길. '몸이 좋은 사람'

    Date2020.10.16 By올리브 Views157
    Read More
  13. 122회 별강 < 마음은 바뀐다>

    Date2022.02.18 By지린 Views158
    Read More
  14. 장독후기 (20회), 2023/2/26(일)

    Date2023.03.07 By簞彬 Views158
    Read More
  15. 길속글속 153회 연강(硏講) _'장소의 가짐'과 돕기의 윤리

    Date2023.05.13 By未散 Views158
    Read More
  16. [一簣爲山(06)-서간문해설]與盧玊溪

    Date2021.07.21 By燕泥子 Views159
    Read More
  17. 어느 잃어버린 장소의 복원

    Date2022.02.03 By해완 Views159
    Read More
  18. 길속글속 146회 연강(硏講) --- 해와 지구 그리고 달

    Date2023.02.03 By수잔 Views159
    Read More
  19. 虛室'' essay_1. 겸허함이 찾아드는 순간

    Date2019.10.31 By허실 Views160
    Read More
  20. 踏筆不二(10) 破鱉千里

    Date2020.03.22 By遲麟 Views1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