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訪吾庭者不顧深山幽谷.png


訪吾庭者不顧深山幽谷

방오정자불고심산유곡


내 정원을 찾는 자 심산유곡을 돌아볼 필요가 없다. 


이런 정토(淨土)나 저런 도원(桃園)을 이야기하지만, 그 절반은 인간의 덕이요, 탓이다. 그래서 묘처나 출세의 은처(隱處)가 아니라 나날이 걷고 응하는 상도(常道)의 겉에 아무 겉가림 없이 나타나는 게 실력이며 진실이다......대개 지식의 대두(大頭)들은 냉소와 아이러니에 급급해 하지만 현성(賢聖)은 그 구체적인 생활 속에서 사린에 응하는 양식으로 자유로워간다. <차마, 깨칠 뻔하였다 p.60-61>



삶의 이치는 특별한 상황 속의 비범한 결심에 의해서 얻어지기보다, 일상 속의 평범한 실천과 정성 어린 반복을 통해 터득된다고 믿습니다. 누군가도, 도(道)는 산중이 아니라 세속에서 깨쳐야한다고 했지요. 예수, 소크라테스, 부처와 같은 성현들도 어떤 면에서는 세속의 한 가운데서 치열하게 몸으로 산 생활인들이었습니다. 일상의 성실한 실천 속에, 나름의 길이 생기고, 이론으로 잡히지 않았던 삶의 모호함이 해소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평범에서 비범으로 넘어가는 가능성의 문턱에는 엄중하게 나의 개입과 실천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매일의 생활 속에서 슬금하게 사린에 응하고 현명하게 개입함으로써 자득하는 실력이 관건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7 약속할 수 있는가? file 찔레신 2018.09.06 433
256 Without Haste, Without Waste ! 1 file 찔레신 2021.07.12 281
255 茶房 - 깊이 file 올리브 2018.11.19 247
254 茶室 그리고 회화(槐花)나무 file 燕泥子 2022.05.12 224
253 茶室 공사 중 2 1 file 肖澹 2022.02.24 1279
252 茶室 공사 중 1 file 찔레신 2022.01.29 1407
251 황톳길 file 토우젠 2019.11.06 196
250 하염없이 배우고 하염없이 비우면 1 file 는길 2021.07.13 344
249 카뮈<정의의 사람들> + 호박수프 만들기 7 file 지린 2021.12.31 1515
248 칠판 칠 작업 (2022/09/19) 2 肖澹 2022.09.20 296
247 추사 김정희 생가(충남 예산) file 형선 2019.04.27 335
246 초록의 자리에서 밝음을 엿보다 file 효신 2020.12.10 105
245 청주 상당산성(淸州 上黨山城)을 걷다 1 file 찔레신 2022.04.26 286
244 창조 4 file 지린 2021.11.01 1333
243 차마, 깨 file 遲麟 2018.11.08 348
242 차라리 영혼은, file 형선 2019.06.07 214
241 차라리 '영혼'은 손에서 생긴다 * file 효신 2023.05.25 217
240 쪽속(15회) file 遲麟 2019.12.25 379
239 쪽속<破鱉千里> file 희명자 2020.03.22 146
238 짧은 볕뉘 하나에, file 는길 2024.03.25 12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