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4.05.21 14:55

4月 동암강독

조회 수 159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동암 강독>이 열리고 있습니다서두르지 않고 쉬지 않고, 5주에 한 번 모입니다. 지난 강독 모임에는 회원 여일숙비랑:는길연이정사이 그리고 청강자 재랑이 참석하였습니다. 

선생님 댁 차방에서 낮게 존재하는 사물들과 어울려 영원한 자기소개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독서하며 쟁여온 질문을 선생님께 드립니다새 말을 붙잡고 담아두기 위하여 손은 민활하게 움직이고 노트는 빽빽해졌습니다그렇게 기록된 언어는 어떤 운명()을 얻고 있을까요간절하였고 그래서 바삐 筆하였던 활자를 살아()내는 노동은 여전히 기록한 자의 몫으로 남아 있습니다. 



ffff.jpg

실은 그게 내겐 가장 놀라운 사실이었다은폐된 상처의 만연(蔓延)에도그 어떤 상처도 공부를 위해서공부를 통해서공부를 향해서 생성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말이다.” (차마깨칠 뻔하였다늘봄, 2018, 264.)


상처의 절망에 대하여 배웠습니다상처와 어리석음은 근친한 관계에 있는 것만 같습니다어리석음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상처는 드물고 어리석음이 된 상처는 흔합니다그러나 좁은 길에 주목하여 보면, 분명 어떤 이들은 상처의 중력을 견디며 오히려 그 어둠 속에서 자신을 깊게-갈무리함으로 정화의 길을 내기도 하는데, 신비주의적 영성가인 이블린 언더힐(Evelyn Underhill)은 이런 구간을 ‘영혼의 어두운 밤이라고 하였습니다. 드리워진 어둠조차 어떤 길의 방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듯합니다모든 수행자와 영성가 그리고 수행적 공부에서 비슷한 과정과 형식이 발견된다고 배웠으니, 긴 공부 길에서 마치 상처’나 '어둠'이 맡은 역할이 있어 보입니다상처는 일종의 내몰림과 같아서 욕망을 정화하고 의욕을 벼리는 진짜배기의 시간에 도달하게도 하고실재를 견디지 못하고 현세 적응의 차원으로 퇴행하게도 합니다. 이렇듯 위기이며 기회인 시간(성)과 버성기며 어떤 진실이 생성되겠지요.


그날 선생님께서는 우리의 상처가 얼마나 사소한가를 지적해 주셨습니다우리의 상처가 어디로부터 생겨나는지요과연 ‘공부로부터 생겨난 상처였는지돌아 보건대알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공부의 상처는 외려 사소하게 배치되고 보상의 굴레나 신경증의 구조욕망의 체계 혹은 체계의 욕망으로부터 생긴 상처는 환착(幻着) 되고 있었습니다할 수 없습니다스스로를 근심하며 변화가 생길 때까지 계속해서 걸어 나갈 뿐입니다. 공부를 신뢰하며 저도 모르게 되풀이하는 상처를 대면하고, 상처 보다 낮게 걷는 걸음을 익히는 과정 속에 있습니다.

<공부로부터 생겨난 상처>라는 말을 배웠습니다. 그(녀)의 공부가 진실하였고 마침내 공부가 그(녀)의 존재 방식이 되어서야 공부의 상처가 생겨납니다. 비로소 학생이 됩니다. 공부를 향하여 상처입고 공부를 통하여 상처 보다 커진 이, 생활 곳곳 무의식 곳곳까지 ‘학생이 될 수 있을까요. 

필기해 놓은 물음 앞에 다시 섭니다.


우리가 공부하는 것이 얼마나 거짓인가우리의 상처가 얼마나 사소한가.’




 ddd.jpg

[동암 강독 소식]

* 5月 동암 강독은 24()에 열리며,  6月 모임은 28일(금)입니다.

** 청강자였던 재랑이 입회 절차를 거쳐서 동암 강독 회원이 되었습니다. 

*** 다음 모임부터 동암 강독은 대구시 수성구로 이동합니다회원 사이의 집에서 오후 3~7시까지 4시간을 어울려 공부합니다.

**** 교재는 차마깨칠 뻔하였다입니다. 다음 모임 진도는 7(‘복종과 의무...’)입니다. 





  • ?
    如一 2024.05.23 10:31
    우리의 상처는 얼마나 사소한가, 공부로부터 생겨난 상처가 있어야 학생이다. 보물을 마당에 묻고 까맣게 잃고 있었던 것을
    다시 상기 시켜주어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6 139회 강강. <아직 끝나지 않은 싸움> 늑대와개의시간 2022.10.19 185
235 138회 자득문, <천(淺)하고 박(薄)한 자의 기쁨(悅)> 수잔 2022.10.19 275
234 130회 강강, <허리편> 수잔 2022.10.19 161
233 139회 별강 <리비도적 애착관계를 넘어 신뢰의 관계를 맺을 수 있을까> 1 簞彬 2022.10.13 262
232 [一簣爲山(18)-서간문해설]與宋雲峯仲懐書 3 file 燕泥子 2022.10.04 262
231 <동무론>, 전설의 책 ! 3 file 찔레신 2022.10.04 358
230 애증의 휴대폰/ 사윤수 2 찔레신 2022.10.03 263
229 138회 별강 <연극적 삶의 진실> 1 내이 2022.09.30 172
228 작은 공부의 빛/ 사여경 2 찔레신 2022.09.30 233
227 137회 별강 <40년 동안의 여성 대학진학율과 혼인율의 통계를 통해 본 여성의 변화> 1 燕泥子 2022.09.17 284
226 산성산책 1 file 燕泥子 2022.08.27 191
225 Luft und Licht heilen 1 찔레신 2022.08.24 200
224 [一簣爲山(17)-서간문해설]答李善述 file 燕泥子 2022.08.21 172
223 135회 별강 <두려워하는 것과 기쁘게 하는 것은 만난다> 2 늑대와개의시간 2022.08.19 162
222 134회 별강 <거울방을 깨고 나아가자> 수잔 2022.08.05 167
221 133회 별강 <그대라는 詩> 윤경 2022.07.22 145
220 [一簣爲山(16)-서간문해설]答洪判官林堂君遇書 file 燕泥子 2022.07.11 189
219 132회 별강 <낭독의 공부> 簞彬 2022.07.07 175
218 [一簣爲山(15)-서간문해설]與權章仲 2 file 燕泥子 2022.06.26 273
217 131회 별강_ 이동할 수 있는가 未散 2022.06.25 196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