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토요일 아침, 찻물을 올리고 라디오를 켠다. 베란다 창문을 열고 북한산 공기를 깊게 들이마신다.

집 안 청소를 끝내고 컴퓨터를 켜서 수업자료를 확인한다.

집을 나서야 할 시간이다. 휴대폰과 가방을 집어 든다.

천안 아산행 열차에 몸을 싣자 긴장이 풀린다. 커피 한 모금을 마신다.

창밖을 바라본다. 수확이 거의 끝난 논에는 흰색의 원형 볏짚들이 사방에 흩어져 있다.

가을 햇살이 따사롭다. 책을 꺼냈다가 다시 집어넣는다.

 

매달 격주로 천안에 간다. 장숙(藏孰)이 있는 곳이다. 처음 고양에서 시작하여 서울 해방촌으로, 작년에 다시 천안으로 이사를 하였다.

천안으로 옮긴 후에는 결석을 자주 하였다. 공부에 대한 아쉬움이 있었지만 게으름이 주는 편안함도 있었다.

 

8월에 삼십여 년의 교직생활을 마감했다.

새로 전보 받은 학교에서 사람에 대한 실망이 컸다.

아이는 불러서 가르칠 수가 있지만 마흔이 넘은 어른은 그렇게까지 하고 싶지 않았다.

일찍 출근해 아무도 없는 교무실에서 《집중과 영혼》을 낭독했다.

점심식사 후 운동장을 한 바퀴 돌았다.

4월의 봄 햇살은 잔인하도록 눈부시고 따사로웠다.

 

시간이 갈수록 몸과 마음이 힘들었다. 지친 몸을 끌고 다시 천안으로 갔다.

신발을 벗고 장숙(藏孰)의 숙인(熟人)들을 보는 순간, ‘! 왔구나…….’

몸을 끈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체감하였다

  

정오(正午)에 시작한 공부는 밤 9시에 끝난다. 자정(子正)이 다 된 시간에 집에 도착한다.

 

퇴직 후에는 결석하지 않는다. 약이(約已)라는 학명(學名)을 선생님께서 주셨다.

약이(約已)-낭독(朗讀)과 신독(愼獨), 경행(經行)의 생활양식을 통해 몸과 마음을 묶어 삶의 가능성을 실천하라고 하셨다.

 

놀라운 이 생명과 정신의 도정에서 공부의 의미와 가치는 무엇일까? 인간은 이 광대무변한 시공간 속에서 구원의 소식이 될 수 있을까?”

                                                                                                                                              (집중과 영혼서언)

 

공부하기에는 한참 늦은 나이지만 나 자신을 알기위해서, 아니 되기위해서

 

約已, 장숙(藏孰)에 간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 學於先學2-1_ 공자와 공자를 배운다는 것(서론) 肖澹 2020.09.11 105
135 學於先學1_ 소크라테스와 그의 말(語) 1 肖澹 2020.08.28 190
134 學於先學 5_ Amor Fati !! 네 운명을 사랑하라!! (정치가 정조 독후감) 1 肖澹 2021.08.21 265
133 學於先學 4_ 다산과 신독 혹은 그의 천주에 관한 짧은 정리적·상상적 글쓰기 肖澹 2021.03.25 302
132 學於先學 3_ 茶山 丁若鏞,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를 읽고 肖澹 2021.02.17 488
131 孰人齋 落穗 (2), 2021/07/18 file 찔레신 2021.07.18 197
130 孰人齋 落穗 (1), 2021/05/09 찔레신 2021.05.09 198
129 始乎爲士終乎爲聖人 희명자 2020.09.19 98
128 吾問-(7) 어떤 약함 隱昭(은소) 2021.03.10 163
127 吾問(6) - 노력의 온도 敬以(경이) 2020.12.09 148
126 吾問(5) 기억의 무게 敬以(경이) 2020.10.12 197
125 吾問(4) 거울놀이 file 敬以(경이) 2020.10.02 85
124 吾問(3) 언어화 1 敬以(경이) 2020.09.22 130
123 吾問(2) Listen to my question (제 질문을 잘 들으세요) file 敬以(경이) 2020.09.12 241
122 吾問(1) - 어떻게 하면 나비가 되죠? 1 file 敬以(경이) 2020.09.02 244
121 千散族和談 1. 세월, 1880년 file 肖澹 2022.06.01 187
120 五問(8) - 날마다 근육통 file 隱昭(은소) 2021.03.28 176
119 ㄱㅈㅇ, 편지글(2) 2 찔레신 2023.05.03 292
118 ㄱㅈㅇ, 편지글 1 찔레신 2023.04.28 178
117 わたしは燕泥子です 1 찔레신 2020.04.28 213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