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3.04.22 23:33

장독후기(23회) 2023/4/9

조회 수 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선생님께서는 산책길에 10개의 쓰레기가 있다면 8개만 줍는데, 도우면서 잡착하지 않고, 원망이 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하셨습니다. 남을 돕는 것에도 에고가 개입되기 마련이니  '남을 도울 때는 깜냥껏, 원칙껏 하되, 집착이나 원망이 쌓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자기를 구제하고 이웃을 돕는 것이 공부길이라지만 잘못 돕는 것에서 원망이 생기며 '보상의 위기'에 시달리게 된다는 것을 알아가게 됩니다.




*

과학적 지식은 항상 진보하며, 잘 축적된 지식으로, 문명의 진보가 이루어집니다. 반면에 깨친다는 것은 내용이 없는 것이기에 축적될 것이 없습니다. 특히나 당대 최고의 지식을 외면한 깨침은 사회적 실효마저 없어보입니다. 칼 세이건은 과학을 이해하느냐 못하느냐가 우리의 생존 여부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 과학을 어떻게 참조하면서 쓸모있는 깨침이 가능할까요? 최고 지식인의 책을 통해 모든 영역의 탁월한 지식을 섭렵하면서 생활속의 수행을 행하며 방향을 잡고서 깨쳐야합니다. 이것이 장숙에서의 공부법이기도 합니다. 




*

'나를 생각하지 않게 되었을 때 생겨나는 가능성'

<선생님 책, 차마 깨칠 뻔 하였다>

가창오리떼는 몸의 유기적인 통합으로 군무를 만들어냅니다. 잡념 혹은 욕망 즉, 에고가 없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그러나 인간은 에고를 지닌 탓에 서로 어긋나며 마찰을 일으킬 뿐 그런 군무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나를 생각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은 에고의 첨병인 잡념에서 해방되었다는 것인데요.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닌 생각이 오게 하는(하이데거) 그 지점으로 나아가 보자는 것입니다. 생각을 비우고 몸에 오롯이 맡길 때 새롭게 올라오는 그것은 어떤 가능성을 지닌 것일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 길속글속 154회 연강(硏講) <어긋냄의 이야기> 燕泥子 2023.05.27 147
15 [一簣爲山(22)-고전소설해설] 崔陟傳(1) 1 file 燕泥子 2023.05.30 153
14 장독후기(26회) 2023/05/21 簞彬 2023.06.03 202
13 (155회 속속 硏講) 가장자리에서 지린 2023.06.10 220
12 [一簣爲山(23)-고전소설해설] 崔陟傳(2) file 燕泥子 2023.06.11 254
11 이번 교재 공부를 통하여, 1 file 는길 2024.02.07 274
10 속속 157~159회 교재공부 갈무리] 촘스키-버윅 vs. 크리스티안센-채터, 혹은 구조와 게임 1 유재 2024.03.05 152
9 160회 속속 발제문] 최명희와 『혼불』제1권 3 유재 2024.03.22 135
8 <최명희와 『혼불』제1권> 발제문을 읽고 2 file 는길 2024.03.29 138
7 161회 속속 낭영과 NDSL사이] 짧은 베트남 여행기 - 그들은 화를 내지 않는다. 유재 2024.04.12 87
6 訓民正音, 혹은 세종의 고독 (1-5) file 찔레신 2024.04.16 195
5 162회 속속 발제문] 공연히, 좀 더 생각해보기: 한자를 정확히 ‘발음한다’는 것은 왜 그토록 중요했을까? 유재 2024.04.26 111
4 寂周經, 혹은 몸공부에 대하여 (1-6) 1 찔레신 2024.05.16 153
3 4月 동암강독 1 file 는길 2024.05.21 159
2 한국어의 기원, 遼河문명, 그리고 한국 상고사의 과제 찔레신 2024.05.23 192
1 164회, 角端飛話 (1-6/계속) 찔레신 2024.06.03 178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