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5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타자성과 거짓말

(부제 : ‘자기의식이 자신을 소외시키지 않는 정신의 형식으로서의 거짓말하지 않기)

 

 

별강자 : 초담

 

*

言語이 사람 사이에서 흐르는 것이라면 거짓이 있는 자리도 사람 사이일 것이고, "변명이 영혼을 갉아먹는 것(자본과 영혼, 71)"이라면 '거짓말은 그 영혼에 균열을 내는 것' 일 것이다. (적어도 내가 아는 거짓말은 그렇다.)

 

*

간혹 아이들은 빤히 보이는 거짓말을 한다. 이런 거짓말은 차라리 귀엽다. 그 거짓말을 잡아 어른들은 아이에게 거짓말 밖에 있는 것들을 가르친다. 그리고 그 거짓말에 의해 일어난 일련의 일들을 통해 아이는 배워 나간다. 사회 속에서, 그러니까 사람의 사이 속에서 거짓말 하는 제/가 무엇인지. 반면에, 이미 사회를 알고 도덕을 아는 성인adult의 거짓말은 조금 복잡하다. 처한 상황의 복잡성과 그 상황에 연루 된 사람간의 관계 속에서 자기가 선/설 자리의 당위를 찾기 위해서 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당위는 본연히 자기당위이다. 이미 체득한 사회적 시선(도덕)과 그 안에서 웃자란 심리가 작동하며 제 존재의 위상을 세우기 위해 자기를 보()하는 에고 혹은 자기표상에 충실한 당위로서의 자기 당위 말이다다자적으로 연속되는 관계의 지형 속에서, 이는 곧, 내적 합리화의 끝없는 환원으로 빠지기 쉽다. 한 번 죽었어야 할 자기(에고)를 죽이지 못하고 살린 대가로 말이다. 자기 당위로써 자가 발전한 자기 합리는 제 안에서만의 진실일 수밖에 없는 심리적 사실을 만들어 내며 그 사실을 증거 해 줄 외부를 찾아 나서기도 한다. 그리고 그 외부 아닌 외부를 통해 자기 진실을 증거 받는다. 동일시 혹은 리비도적 결착의 방식으로써 세상과 내통하는 것이다. 어느새 거짓말 아닌 거짓말이 자기를 옹위한다. 그 심리적 경계에 갇혀, 경계 밖으로 외출하지 못한 자아의 정서세계가 막 도덕을 배우는 아이의 시선에 머물게 되는 것은 어쩌면 타자를 만나지 못()해 빠지게 되는 퇴행으로서의 유치화, 그 자아의 궁극적 몰락을 예견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

자기 합리화에서 빠져나오는 길은 타자를 수용하는 방식에 있다. 타자성이라는 그 낯섦의 수용은 사회적 동화(아렌트)’ 속에서 자기를 살려야 했기에 이룬 나만의 승리로부터의 탈출이자, 자기가 얼마나 타인으로부터 타자인가를 알게 되는 과정이며, 타자와 분리하여 자기가 누구인지, 무엇인지를 인정하는 순간이기도 하다. 즉 자기정당화 혹은 자기합리화로서의 거짓말에서 빠져나와 외부적 진실 혹은 사실들이 자기 몸을 치는 것을 허용 하여, 그 속에서 피어오르는 존재를 만나고 시류時流적이고 지엽적인 도덕의 흐름에 빠진 자기를 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자기 윤리에 기반해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으로 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자타 인정自他認定을 통한 세계 확장 혹은 자기 도량을 넓히는 재구조화의 과정을 거친다는 것은, 목전의 상황을 파악하고 대면한 타자를 감각하여 소통하는 상호작용 속에서 /타를 모두 살리는 진실 혹은 (미래적)사실을 말 할 수 있는가의 (응하기)실력의 문제가 되기도 한다. 에고라는 폐쇄구조 속 자아가 선택하는 답지는 자기 정합성을 찾아 자기를 보하는 데 여념이 없겠지만, 지며리 에고를 죽이는 형식 속에 자기 발을 묻은 학인學人즉자대자존재(Au-und-Fürsich)의 종합(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163)을 향한 방향을 쉽게 바꾸지 못한다. 이는 내용에 빠져 난반사된 이론이 누더기 거짓말이 되지 않고, 종합 된 공부로 나아가는 실력이 되는 현장이기도 하다.

*

언제 어느 장소 어디 즈음에 있든 본질은 혹은 본진은 내 생활이다. 유령처럼 혹은 헛깨비처럼 제 생활의 현장에서 부유浮游하고 있는 자신이 못마땅해 진다는 것은 오연傲然한 자기에게서 걸어 나와 타자를 만나러 가는 첫 발을 뗄 때가 찾아왔다는 신호이기도 하다. 그리고 생활이라는 연극적 현장에서의 충실성, 그것이 다만 타인에게 혹은 그 상황에 맞게 자기를 얼마나 잘 꾸미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그 장소 그 시간에 얼마나 연극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가의 문제라면, 학인은 연극적 생활인일 것이고, 그의 생활은 어느 시공의 무대가 되어 낮게 빛을 발할 것이다. 그 빛 속에서 자기의식이 자신을 소외시키지 않는 정신의 형식으로서의 거짓말하지 않기도 가능하지 않을까.

  • ?
    肖澹 2022.11.14 08:27
    *
    이 글은, 지난 11월 5일(토) 43회 보속(서숙)에서, “참말과 거짓말을 한다는 것은 실력의 문제 일 수 있다”라는 선생님께서 해주신 말씀에 착안하여 정리하게 된 글입니다.
    *
    ‘자기의식이 자신을 소외시키지 않는’은,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31쪽의 구원,
    “자기의식이 자신의 삶과 실천 속에서 완전히 녹아든 게 바로 구원의 징표다. 자기를 바라보는 자기의식이 소외되거나 스스로 버성기지 않으면 그것으로 좋다”라는 문장에 터해 쓴 말입니다.

  1. [一簣爲山(08)-서간문해설]與李叅奉

  2. [一簣爲山(07)-서간문해설]與林葛川書

  3. [一簣爲山(06)-서간문해설]與盧玊溪

  4. [一簣爲山(05)-서간문해설]答百誠之

  5. [一簣爲山(04)-서간문해설]答鄭雲龍書

  6. [一簣爲山(03)-서간문해설]與李景魯

  7. [一簣爲山(02)-서간문해설]與李夢應

  8. [一簣爲山(01)-서간문해설]與栗谷書

  9. With

  10. The truth about my refrigerator, Kimchi/ Carla Lalli Music

  11. Man's Explosive Anger Causes Concern For Easygoing Fiancee

  12. Luft und Licht heilen

  13. Japan and, the Shackles of the past

  14. How the Coronavirus Can and Cannot Spread/ <New York Times>

  15. Hirt der Sprache

  16. Girlfriend Learns The Secret Behind Man's Cheap Rent

  17. essay 澹 6. 타자성과 거짓말(141회 속속 별강문)

  18. No Image 28May
    by 肖澹
    2022/05/28 by 肖澹
    Views 149 

    essay 澹 5_自得(2)_ 성장 · 성숙 · 성인(2-1)

  19. essay 澹 4. 自得(1)_물화物化와 인정

  20. No Image 03Mar
    by 肖澹
    2022/03/03 by 肖澹
    Views 196 

    essay 澹 3. 安寧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