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기소개에 대하여>

 

*

속속 공부의 시작은 자기소개였다. 장숙의 개숙식에 초대받았을 때 손님이지만 역시 간단한 자기소개를 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 어떤 식으로 자기소개를 해야 하는지 막막한 기분이 들었다. 이제까지 해왔던 자기소개를 떠올려보았다. 주로 취업을 위한 이력서(履歷書)에 필요한 자기소개였다. 성장과정, 학창시절, 가족관계 등, 살아온 시간과 살면서 맺은 관계에 대한 이야기가 담긴, 과거로부터 현재로까지 이어지는 발자취(履歷)와 앞으로의 다짐을 곁들였던 자기소개였다.

 

*

자기소개는 자신에 대한 자신의 재서술(redescription)이다.

이후로 계속된 자기소개는 내 안에 끊임없는 질문을 불러왔다. 공부자리에서 준비되지 않은 채 갑작기 자기소개를 맞이했을 때의 몇 번의 당황스러움은 점차 자기소개를 준비하게 했고, 때로는 글로 써서, 때로는 마음속으로 자기소개를 준비했다. 2주간의 생활에서 일어난 변화나 사건들을 말할 때도 있었고, 학인으로서의 나의 생활을 반성할 때도 있었고, 그냥 단지 2주간의 느낌에 대해, 속속에서 공부하고 있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도 있었다. 그러면서 동시에 질문이 끊어지지 않았다. 끊임없이 나는 누구인가를 물었다. 나는 나를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가? 나는 어떤 말로 구성된 사람인가? 나의 자기소개는 지금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가? 나는 변화에 집중하고 있는가, 과오에 집중하고 있는가, 무엇에 집중하고 있는가, 내가 재서술하고 있는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 그리고 앞으로의 다짐 속에 그려지는 미래의 나를 관통하는 것은 무엇인가? 학인으로서 자기소개를 공부의 형식으로 가져간다고 할 때 나는 그 의미에 맞는 자기소개를 하고 있는가? 자기소개라는 형식을 통해서 나는 무엇을 배우고 있는가?

 

*

물음은 물음의 수행 그 자체가 새로운 공부 길을 열어낸다. 좋은 물음은 새 문을 열어내고(賢問開門), 절실한 물음은 삶을 문제시(切問近思)하듯이 자기소개를 통해서 만나는 물음은 답을 구하는 것이 아니고 그 자체가 공부하는 학인으로서의 나에 대한 공부였다. 속속을 떠나 잠시 방학을 하고 있는 동안에도 나는 가끔 속속을 떠올리며 속으로 자기소개를 하곤 했다. 비록 혼자 하는 자기소개였지만, 속으로 해보는 자기소개는 타인을 배제하는 속성에 있는 자기-생각이라는 틀 속에서 나와 다시 말해, 나의 생각에서 나와 너의 사실에 다가가기 위한 도구가 되었다. 자기소개를 통해서 나는 바깥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

영원한 자기소개

공부자리에서 나의 자기소개의 주제는 나는 왜 공부하는가’, ‘왜 나는 공부자리에 있고자 하는가이다. 매 공부모임마다 공부를 준비하며, 공부자리에 앉아서, 내가 여기 있는 이유와 내가 가고자 하는 길에 대해 끊임없이 묻고 환기한다. 과거에 얽매인 내가 아니라, 현재의 상황과 조건에 매몰된 내가 아니라 지금 여기서 내가 하고자 하는 일, 그 질문, 그것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묻고 재서술하는 것이다.


  1. 119회 별강<장숙에서의 공부가 내 삶에서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가>

    Date2022.01.05 By簞彬 Views496
    Read More
  2. 118회 별강 <자기소개에 대하여>

    Date2022.01.05 By燕泥子 Views163
    Read More
  3. 115회 별강 <경험가설>

    Date2021.11.12 By지린 Views225
    Read More
  4. 114회 별강-<유령들의 요청>

    Date2021.10.28 By실가온 Views322
    Read More
  5. 113회 속속 별강 <눈을 감고 심호흡을 하면>

    Date2021.10.15 By약이 Views219
    Read More
  6. 110회 속속 별강 <변신(變身)하기 위해 장숙(藏孰)에서 장숙(藏熟)하기>

    Date2021.09.03 By수잔 Views378
    Read More
  7. 108회 속속 별강 (유물론자의 다른 세상 보기)

    Date2021.08.06 By懷玉 Views264
    Read More
  8. 105회 속속 별강 <청소로 시작의 문을 연다>

    Date2021.06.21 Bymhk Views234
    Read More
  9. 104회 속속 별강 <What women want>

    Date2021.06.12 By燕泥子 Views191
    Read More
  10. 103회 속속 별강, 답례를 해야 하는 절대적 의무

    Date2021.05.29 By는길 Views224
    Read More
  11. 102회 속속 별강 <삶의 미학, 그 직관의 토양>

    Date2021.05.14 By내이 Views199
    Read More
  12. (희명자 연재) 行知(1) 듣기의 수행성

    Date2020.04.10 By희명자 Views212
    Read More
  13. (위험한 여자들) #1. 페미니즘의 도전(정희진, 2013)

    Date2019.11.19 By榛榗 Views176
    Read More
  14. (속속) 연극성(Theatricality)과 진정성(Authenticity)

    Date2020.02.26 By榛榗 Views795
    Read More
  15. (속속 130회 별강) 정서가 자란다

    Date2022.06.11 By는길 Views344
    Read More
  16. (身詞) #1. 글쓰기의 어려움

    Date2019.11.05 By榛榗 Views334
    Read More
  17. (155회 속속 硏講) 가장자리에서

    Date2023.06.10 By지린 Views224
    Read More
  18. '실력 있음"이 죄가 될 때

    Date2020.06.24 By해완 Views166
    Read More
  19. '밟고-끌고'의 공부길,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lector

    Date2023.02.05 By찔레신 Views124
    Read More
  20. '글쓰기'라는 고민

    Date2022.01.05 By해완 Views40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