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2.06.20 17:10

시 읽기(131회) (1-2)

조회 수 1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Dylan Thomas(1914-1953)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Old age should burn and rave at close of day;

Rage, rage against the dying of the light.


Though wise men at their end know dark is right,

Because their words had forked no lightning they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Good men, the last wave by, crying how bright

Their frail deeds might have danced in a green bay,

Rage, rage against the dying of the light.


Wild men who caught and sang the sun in flight,

And learn, too late, they grieved it on its way,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Grave men, near death, who see with blinding sight

Blind eyes could blaze like meteors and be gay,

Rage, rage against the dying of the light.


And you, my father, there on the sad height,

Curse, bless, me now with your fierce tears, I pray.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Rage, rage against the dying of the light.






황톳길



                                                 김지하


황톳길에 선연한
핏자욱 핏자욱 따라
나는 간다 애비야
네가 죽었고
지금은 검고 해만 타는 곳
손엔 철삿줄
뜨거운 해가
땀과 눈물과 모밀밭을 태우는
총부리 칼날 아래 더위 속으로
나는 간다 애비야
네가 죽은 곳
부줏머리 갯가에 숭어가 뛸 때
가마니 속에서 네가 죽은 곳

밤마다 오포산에 불이 오를 때
울타리 탱자도 서슬 푸른 속니파리
뻗시디 뻗신 성장처럼 억세인
황토에 대낮 빛나던 그날
그날의 만세라도 부르랴
노래라도 부르랴

대숲에 대가 성긴 동그만 화당골
우물마다 십년마다 피가 솟아도
아아 척박한 식민지에 태어나
총칼 아래 쓰러져간 나의 애비야
어이 죽순에 괴는 물방울
수정처럼 맑은 오월을 모르리 모르리마는

작은 꼬막마저 아사하는
길고 잔인한 여름
하늘도 없는 폭정의 뜨거운 여름이었다
끝끝내
조국의 모든 세월은 황톳길은
우리들의 희망은

낡은 짝배들 햇볕에 바스라진
뻘길을 지나면 다시 모밀밭
희디흰 고랑 너머
청천 드높은 하늘에 갈리던
아아 그날의 만세는 십년을 지나
철삿줄 파고드는 살결에 숨결 속에
너의 목소리를 느끼며 흐느끼며
나는 간다 애비야
네가 죽은 곳
부줏머리 갯가에 숭어가 뛸 때
가마니 속에서 네가 죽은 곳.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6 <쪽속>(17회), 2020년 2월 22일(토) 6 찔레신 2020.02.18 428
105 <홍대용> 2 file 찔레신 2020.02.11 341
104 길속글속(70회), 2020년 2월 15일 5 찔레신 2020.02.04 491
103 <부처님의 생애> file 찔레신 2020.01.26 331
102 시읽기(70회) (1-6) 1 遲麟 2020.01.17 843
101 길속글속(69회), 2020년 2월 1일 (오후3시 ~9시) 5 찔레신 2020.01.14 608
100 <쪽속>(16회), 2020년 1월 18일(토) 5 찔레신 2020.01.13 359
99 Joseph Ernest Renan, <La vie Jésu> file 찔레신 2020.01.07 424
98 시읽기(68회)(1-6) 1 遲麟 2020.01.05 8552
97 길속글속(68회), 2020/01/11(토) 3 찔레신 2020.01.03 370
96 시 읽기 (67회) (1-6) 遲麟 2019.12.23 23758
95 <쪽속>(15회), 2019년 12월 21일(토) 6 찔레신 2019.12.17 488
94 길속글속(67회), 2019년 12월 28일 9 file 찔레신 2019.12.16 430
93 시 읽기(66회) (1-6) 遲麟 2019.12.08 310
92 길속글속(66회), 2019년 12월 14일(토) 4 찔레신 2019.12.02 446
91 <소크라테스의 回想>(크세노폰) file 찔레신 2019.11.20 1241
90 시 읽기(65회) (1-7) 遲麟 2019.11.19 371
89 속속(65회) , 2019년 11월 30일(토) 5 file 찔레신 2019.11.19 439
88 <知的傳記>의 사상사 file 찔레신 2019.11.14 282
87 <쪽속>(14회), 2019년 11월 23일(토) 6 찔레신 2019.11.11 357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0 Next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