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성인의 시간.jpg


*

지난 13일, 시독(時讀)의 3교시 “書簡文과 우리 漢詩”에서는 아래와 같은 北窓의 시를 배웠습니다.


生讀破萬券書

日飮盡千種酒

高談伏羲以上事

俗說從來不卦口

顔回三十稱亞聖

先生之壽何其久

태어나서책만권독파했네

하루에천잔술을다마시기도했네

복희씨의고담(高談)그이상을세웠고

속설은종래점치거나말하지않았다네

안회는삼십에성인버금간다불렸는데,

나(先生)의수(壽)는어찌이리도긴가


*이 시의 마지막 구절(先生之壽何其久)이 이상했습니다. 안회의 생이 너무 짧았던 것에 대한 한탄인가, 하는 궁리를 하기도 했었습니다. 시독시간에 선생님께서 이 구절의 ‘先生’은 북창 자신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알려주셨습니다.


* 그래서 나는 마지막 구절을 조금 짐작할 수 있게 되었는데, 북창은, 책을 만권 읽고, 날이 새면 술 천 잔을 다 마셔도 끄떡없는 몸이 되었고, 복희씨보다 더 높은 고담을 세웠고, 세속의 속된 일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점쳐보거나 말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스스로가 아직도 “先生의 時間”에 있는 것을 안타까워하고 있는 것이로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안회가 삼십에 막 들어서고 있었던, 혹은 훌쩍 넘어갔던 “聖人의 時間”은, 북창 자신이 지금 있는 곳, 즉 “先生의 時間”이 아니라는 사실을 통탄하고 있구나 하는 새로운 시흥이 생기는 것이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 나를 보다 올리브 2018.09.13 198
175 151회 속속(2023/04/15) 후기_“너무 착한 시 아닌가요?” (K선생님) 1 고하(皐霞) 2023.04.28 197
174 孰人齋 落穗 (1), 2021/05/09 찔레신 2021.05.09 197
173 딴 생각 file 형선 2019.01.29 197
172 essay 澹 3. 安寧 肖澹 2022.03.03 196
171 소유 懷玉 2022.01.27 196
170 102회 속속 별강 <삶의 미학, 그 직관의 토양> 내이 2021.05.14 196
169 吾問(5) 기억의 무게 敬以(경이) 2020.10.12 195
168 虛室'' essay_4. 정신 차렷! 몸 차렷! 허실 2019.12.28 195
167 여성 file 형선 2019.03.13 195
166 訓民正音, 혹은 세종의 고독 (1-5) file 찔레신 2024.04.16 194
165 <적은 생활...> 서평, 중앙일보 양성희 기자 찔레신 2022.12.12 194
164 131회 별강_ 이동할 수 있는가 未散 2022.06.25 194
163 [一簣爲山(04)-서간문해설]答鄭雲龍書 file 燕泥子 2021.07.06 194
162 148회 속속(2023/03/04) 후기 5 윤경 2023.03.16 193
161 孰人齋 落穗 (2), 2021/07/18 file 찔레신 2021.07.18 193
160 123회 <별강>-과거의 눈빛 실가온 2022.03.05 192
159 99회 속속의 별강 <弋不射宿> file 지린 2021.04.02 192
158 <83회 별강> 능력주의 신화는 아직도 진행 중? 冠赫 2020.08.14 191
157 <82회 별강> 여자의 말을 배운다는 것 燕泥子 2020.08.01 191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