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04.18 22:01

제목

조회 수 156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다 죽고마는 날이다

울다가 웃다가 사라질 수밖에 없지 않은가 말이다

꿈도 사랑도 먼 훗날의 기약으로 남아
또, 다시, 
첫 횃소리로 함께 하는 
  • ?
    희명자 2020.04.19 04:01

    그대도 사랑도 오늘의 언약이 되어

    또, 다시,


    첫 횃소리로 함께 하는

  • ?
    지린 2020.04.19 11:05

    어제 "절름발이 자라가 천리를 간다 쪽속 소풍"에서 들렀던 봉곡사에는, 깨달음을 얻은 어느 수행자가 자리를 털고 일어나서 노래한 시(悟道誦)가 입간판처럼 서 있었습니다. 그 마지막 구절이 鷄鳴丑時寅日出(축시에닭이울더니인시되자해뜬다)였습니다. 선생님께서 "축시는 귀신들이 돌아다니는 시간"이라고도 알려주셨는데, 축시 지나 인시되어야 사람의 시간이 시작된다는 뜻으로 이어져서인지, 어제 "파별천리봄소풍"은 축시를 "집 안"에 모여서 지냈고 축시 지나 인시에 파했습니다. 이제 해 뜨고 뒤를 돌아보니, 사람이 이 땅에 사는 한 "축시에는 닭이 울고 인시부터 새 날이 시작된다"는, 새삼스럽고, 크고 쉬운 보편의 진리같습니다.

  • ?
    희명자 2020.04.19 11:13

    春宵一刻直千金(봄밤짧은시간의값은천금과같다)

    축시도, 자시도,
    '함께 하는

    봄', 이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 「성욕에 관한 세편의 에세이」에 대한 단상 9 허실 2019.10.07 276
115 “조선, 1894 여름” 의제 冠赫 2020.07.30 65
114 ‘대책 없이 추워진 날씨에 고양이 걱정’ 1 형선 2019.02.13 246
113 [나의 지천명]_2. 안다는것 3 燕泥子 2020.06.14 211
112 [나의 지천명]_1. 연재를 시작하며 2 燕泥子 2020.05.31 142
111 [一簣爲山(23)-고전소설해설] 崔陟傳(2) file 燕泥子 2023.06.11 250
110 [一簣爲山(22)-고전소설해설] 崔陟傳(1) 1 file 燕泥子 2023.05.30 147
109 [一簣爲山(21)-서간문해설]答琴聞遠 1 file 燕泥子 2023.04.18 85
108 [一簣爲山(20)-서간문해설]與吳生 file 燕泥子 2023.02.06 67
107 [一簣爲山(19)-서간문해설]與李儀甫 1 file 燕泥子 2022.11.28 112
106 [一簣爲山(18)-서간문해설]與宋雲峯仲懐書 3 file 燕泥子 2022.10.04 260
105 [一簣爲山(17)-서간문해설]答李善述 file 燕泥子 2022.08.21 170
104 [一簣爲山(16)-서간문해설]答洪判官林堂君遇書 file 燕泥子 2022.07.11 186
103 [一簣爲山(15)-서간문해설]與權章仲 2 file 燕泥子 2022.06.26 268
102 [一簣爲山(14)-서간문해설]與鄭士誠士慎 file 燕泥子 2022.05.29 246
101 [一簣爲山(13)-서간문해설]與金惇敘(2) file 燕泥子 2022.05.16 228
100 [一簣爲山(12)-서간문해설]與金惇敘 1 file 燕泥子 2022.04.18 187
99 [一簣爲山(11)-서간문해설]與牛溪書 2 file 燕泥子 2022.04.05 286
98 [一簣爲山(10)-서간문해설]寄亨南書 file 燕泥子 2022.03.22 133
97 [一簣爲山(09)-서간문해설]與趙重峰憲書 file 燕泥子 2022.02.21 209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