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05.15 23:16

속속(76회)

조회 수 224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KakaoTalk_20200515_215204698.jpg

KakaoTalk_20200515_215205675.jpg

KakaoTalk_20200515_215204333.jpg


* 76회 속속에서는 의무려산에서 실옹(實翁)과 허자(虛子)가 벌이는 실학문답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홍대용 선생님의 저작인 의산문답(醫山問答)을 바탕으로 라디오극 醫山問答을 토우젠-희명자 두 숙인 분의 연극적 대화 형식으로 진행했습니다.

 

(중략) 말할 것도 없이 천지 사이의 만물 가운데 사람이 귀하다는 것이 유학의 바탕이다. 그러나 실옹은 말하기를, “사람으로서 만물을 보면 사람이 귀하고 만물이 천하지만, 만물로서 사람을 보면 만물이 귀하고 사람이 천할 것이며, 한걸음 더 나아가 하늘의 처지에서 보면 사람과 만물이 다 마찬가지라고 했다. /<홍대용> p.291

 




  • ?
    희명자 2020.05.16 14:30
    교재 <홍대용> 68쪽에는 석실서원의 학규가 있는데, 복원 가치가 있는 학규를 살펴보자는 의제를 제시했었습니다. 그 중에 칠계(七界)는 '~을 말하지 말라'라는 형식으로 되어있었지요. 비슷하게, 藏孰에도 '외모를 말하지 않는다'라는 지침이 있습니다. 이것을 왜 지켜야 하는지, 한 숙인은 이렇게 설명했어요. "상대의 말이 있는 곳에 말을 얹어야 하는데, 몸은 말이 없는 곳이므로 외모를 말하는 것은 말이 없는 곳에 말을 얹는 것이 된다." 숙인의 사유가 그 지침을 더욱 환하게 드러내주는 듯했습니다.
    덧붙여 선생님께서는, 공부의 현장에는 불문율처럼 '~을 피하는'게 있다고 하셨고, 특히 가까운 동무, 대화를 주고받는 상대방에게 지켜야 할 화법이 있다고 지적해 주셨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7 <속속> 50회 기념 책갈피 1 file 형선 2019.05.01 248
176 어떤 실험, 혹은 실천 file 형선 2019.08.17 247
175 入春 2 토우젠 2019.02.12 247
174 지리산 봄 소풍, 효신이 전하는 글 1 file 肖澹 2022.04.11 246
173 5월, 책마치 file 藏孰 2020.04.25 246
172 12월7일(토) 강연: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 file 藏孰 2019.11.27 246
171 제1회 장독포스터 1 file 遲麟 2019.11.15 245
170 2019 "秋而孰同步" 5 file 遲麟 2019.10.13 245
169 茶房 - 깊이 file 올리브 2018.11.19 244
168 속속(81회) 1 file 유주 2020.07.22 242
167 64회 속속 file 遲麟 2019.11.19 242
166 속속(78회) file 유주 2020.06.13 241
165 시독40회 file 遲麟 2020.01.17 241
164 In the realms unknown but trustworthy file 찔레신 2023.01.19 240
163 <속속>식사 준비 조, file 藏孰 2020.03.25 240
162 <장숙>_다기 file 토우젠 2018.09.19 240
161 '오해를 풀지 않는다' file 형선 2019.03.06 238
160 적청화경(寂淸和敬) file 燕泥子 2022.05.26 237
159 102회 속속 : 짐멜과 모스를 읽은 후 단상 1 近岑 2021.05.19 233
158 136회 속속(2022/09/03) 1 file 윤경 2022.09.05 2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