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42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언니

언니를 처음 만났을 때가 언제였는지, 어디서였는지 잘 기억이 안나요. 스물 한 두 살쯤, 처음 만난 언니는 정말 말이 빠르고 개념어를 많이 사용해서 나는 언니의 말을 이해하기 어려운 정도가 아니라 잘 안 들렸어요. 한참 지나고 나중에야 언니가 한 말이 이 말이었나하는 정도로 언니의 말을 못 알아들었죠. 나이 차이가 많이 나기도 했고 스스로 활자중독이라고 할 정도로 늘 책을 보고 철학을 전공한 언니이기에 나는 사실 언니의 말을 이해하려는 시도도 못했어요. 단지 열심히 귀 기울여 들었을 뿐이었죠. 아무리 열심히 들어도 듣지도 못하고 지나가는 말들도 많았지만 무슨 말인지는 몰라도 언니가 하는 말은 심오해서 내가 새겨들어야할 것만 같았어요. 그런 나에게 어느 날 언니의 말이 또렷하게 들렸어요. 버스 정류장이었을까요. 우리는 같이 앉아 무엇을 기다리고 있었어요. 언니가 나에게 하고 싶은 게 뭔지 물었어요. 나는 잘 모르겠다고, 내가 뭘 하고 싶은지 잘 모르겠다고 답하고선 언니는요하고 물었던 것 같아요. 언니는 진리를 알고 싶어라고 했어요. 처음으로 제대로 들은 언니의 말이었어요. 제대로 들었지만 이해할 수는 없는 말이었어요. 언니는 이미 진리를 알고 있는 것 아니었나? 언니가 알고 싶은 진리란 하나님의 뜻일까? 언니는 다른 진리를 구하는 것일까? 대체 진리란 뭘까? 언니의 답은 처음 무한을 만난 어린아이처럼 나를 끝도 없는 생각으로 이끌었어요.


그렇게 삼십년 가까운 시간이 훌쩍 지났네요.

학교 다닐 때 다니던 교회가, 골목이 다 사라져버려 눈 감고 다니던 그 길도, 그 교회도 찾을 수 없었던 어느 날 언니가 그랬죠. ‘그때가 있었을까?’라고. 처음부터 이 나이였던 것 같다며 그때는 있었을까 물었어요. 내가 언니의 말을 들어도 모르던 때, 언니가 진리를 알고 싶다고 했던 그때가 정말 있었을까요? 그 즈음 내가 k님과 공부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자 언니는 철학, 재미있지, 재미있겠다라고 얘기해주었어요.

 

그래서였을까요?

지천명을 앞두고 새롭게 공부를 만나고 통과하면서 나의 삶을 다시 이해하는 글쓰기라는 과제를 만났을 때, 어떻게 쓸 것인가, 하나의 주제아래 연결성을 가지는 글쓰기는 어떠해야하는가라는 고민을 할 때, 글의 내용보다 먼저 형식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됐을 때 언니가 떠올랐어요. 진리를 알고 싶다는 말로 다른 세계를 열어주었던 언니, 나보다 먼저 지천명을 지난 언니에게 쓰는 편지로 나의 이야기를 하면 어떨까, 생각하게 됐어요. 그동안 부딪혔던 공부하면서 느꼈던 느낌들, 알게 된 것들을 편지로 이야기 해보고 싶어요. 글이 서투른 저에게 편지는 조금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 같아요

언니, 또 편지할게요.

  • ?
    허실 2020.06.01 04:32
    내 처지 부끄러워 헛된 한숨 지어 보고
    남의 복 시기하여 혼자 슬퍼하다가도
    너를 문득 생각하면 노고지리 되는고야
    첫새벽 하늘을 솟는 새. 임금인들 부러우리
    -셰익스피어 <소네트29번>
  • ?
    희명자 2020.06.01 07:07

    언니, 라는 호칭에 쉽게 이입하였고 편지라는 형식탓인가, 그냥 안읽고 숨죽여 읽었어요.

    어떤 말로 다른 세계를 열어준 이들은 기억에 머물다가,
    저로서는 또 다른 세계를 만나 변화를 겪고 잠시 쉬던 때, 굽어보는 시선에 그들이 늘 다시 포착되었던듯 해요.

    그랬던 이들이 이 글을 읽으며 다시 호출되었답니다.

    '지천명을 앞두고 새롭게 공부를 만나고 통과'하는 연니자를
    글로 만날수 있다니 반갑고, 기쁘기도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The truth about my refrigerator, Kimchi/ Carla Lalli Music 2 file 찔레신 2020.05.07 36133
75 녹색당 생각 토우젠 2020.05.06 122
74 わたしは燕泥子です 1 찔레신 2020.04.28 212
73 行知(2) '순서'와 '절차'라는 것 3 file 희명자 2020.04.24 235
72 비 오는 월요일의 단상 2 해완 2020.04.20 190
71 제목 3 file 토우젠 2020.04.18 156
70 踏筆不二(12) 聖人의 時間 file 지린 2020.04.15 98
69 (희명자 연재) 行知(1) 듣기의 수행성 1 희명자 2020.04.10 209
68 踏筆不二(11) 米色 2 file 遲麟 2020.04.01 135
67 踏筆不二(10) 破鱉千里 3 file 遲麟 2020.03.22 159
66 전통, 그 비워진 중심_'세 그루 집'(김재경) 평문 file 榛榗 2020.03.11 570
65 How the Coronavirus Can and Cannot Spread/ <New York Times> 1 찔레신 2020.03.06 11853
64 踏筆不二(9) 돌 file 遲麟 2020.03.03 111
63 (속속) 연극성(Theatricality)과 진정성(Authenticity) 榛榗 2020.02.26 792
62 <틈셋학교>를 연기합니다, file 희명자 2020.02.21 294
61 踏筆不二(8) 蓮姬 2 file 遲麟 2020.02.19 191
60 9살 서율이의 10계 1 file 희명자 2020.02.09 232
59 踏筆不二(7) 메타포에 능한 자 1 file 遲麟 2020.02.07 204
58 Man's Explosive Anger Causes Concern For Easygoing Fiancee 1 file 찔레신 2020.01.16 21510
57 스승과 제자들 億實 2020.01.16 200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