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50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なぜ嫉妬にかられた男は妻や人を犯すのか?

彼が゙ ゙進化論的に合理的゛であるとすれぼ、 その目的は自分の精子を子宮に注入することだ。

そうすれぼ、ライバルの精子に打ち勝つ可能性が多少はあるのだから…… 

橘玲,『言ってはいけない』87


*

위 인용문은 지난 8월 31일 시독(時讀) 4교시의 일문강독 시간에 배운 문단입니다.

일문강독의 교재 『言ってはいけない』의 부제는 “殘酷すぎる真実”입니다.

선생님께서 “인간은 사람의 머리와 짐승의 꼬리를 동시에 가진 존재”라고 하신 적도 있지만, 이 책의 주된 내용은 진화의 망에 고스란히 잡혀있는 사람의 존재(Sein) 진실입니다. 저자는 꼼꼼하게 조사하여, 인간의 다른 영역을 조목조목 일러주고 있습니다.


*

이날 이 교재를 공부하면서 선생님께서 “인문학의 오랜 질문은, ‘존재(Sein)에서 당위(Sollen)로 갈 수 있는가?’였다”고 하셨습니다. 만약 그럴 수 없다면, “윤리학은 그래서 가설적인 개념일 수밖에 없다.” 고 우리는 배웠습니다. 




  • ?
    찔레신 2020.09.03 20:42
    *그러나 인간 그 자체가 일종의 가설입니다. 인간 조차도 큰 自然史의 일종으로 볼 수 있긴 하지만, 바로 그 자연조차도 인간의 쉼없는 '개입'에 의해 성립된 것이기 때문이지요. 그러므로 '윤리학적 가설'이라는 말은, 필경 인간의 책임과 동근원적입니다.

  1. 횡단보도를 마주하고

  2. No Image 26Oct
    by yield
    2018/10/26 by yield
    Views 239 

    허영,낭만적거짓 그리고 나

  3. No Image 23May
    by 찔레신
    2024/05/23 by 찔레신
    Views 174 

    한국어의 기원, 遼河문명, 그리고 한국 상고사의 과제

  4. No Image 06Jan
    by 찔레신
    2022/01/06 by 찔레신
    Views 411 

    통신표(2022) (1-5/계속), Tempta Iterum !

  5. No Image 24Dec
    by 영도물시
    2018/12/24 by 영도물시
    Views 249 

    천안 산새

  6. 진실은 그 모양에 있다

  7. 진료실에서의 어떤 기억

  8. 조선 1894년 여름, 여성의 삶과 관련하여

  9. 제목

  10. 정체성과 수행성

  11. 정신을 믿다

  12. 절판된 책 제본신청 (그리고)

  13. 절망으로

  14. 전통, 그 비워진 중심_'세 그루 집'(김재경) 평문

  15. No Image 30Oct
    by 현소자
    2020/10/30 by 현소자
    Views 115 

    장면과 장면 사이의 개입

  16. No Image 03Jun
    by 簞彬
    2023/06/03 by 簞彬
    Views 193 

    장독후기(26회) 2023/05/21

  17. 장독후기(25회) 2023/05/07

  18. No Image 02May
    by 簞彬
    2023/05/02 by 簞彬
    Views 108 

    장독후기(24회) 2023/4/23

  19. No Image 22Apr
    by 簞彬
    2023/04/22 by 簞彬
    Views 95 

    장독후기(23회) 2023/4/9

  20. 장독후기(22회) 2023/3/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