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509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なぜ嫉妬にかられた男は妻や人を犯すのか?

彼が゙ ゙進化論的に合理的゛であるとすれぼ、 その目的は自分の精子を子宮に注入することだ。

そうすれぼ、ライバルの精子に打ち勝つ可能性が多少はあるのだから…… 

橘玲,『言ってはいけない』87


*

위 인용문은 지난 8월 31일 시독(時讀) 4교시의 일문강독 시간에 배운 문단입니다.

일문강독의 교재 『言ってはいけない』의 부제는 “殘酷すぎる真実”입니다.

선생님께서 “인간은 사람의 머리와 짐승의 꼬리를 동시에 가진 존재”라고 하신 적도 있지만, 이 책의 주된 내용은 진화의 망에 고스란히 잡혀있는 사람의 존재(Sein) 진실입니다. 저자는 꼼꼼하게 조사하여, 인간의 다른 영역을 조목조목 일러주고 있습니다.


*

이날 이 교재를 공부하면서 선생님께서 “인문학의 오랜 질문은, ‘존재(Sein)에서 당위(Sollen)로 갈 수 있는가?’였다”고 하셨습니다. 만약 그럴 수 없다면, “윤리학은 그래서 가설적인 개념일 수밖에 없다.” 고 우리는 배웠습니다. 




  • ?
    찔레신 2020.09.03 20:42
    *그러나 인간 그 자체가 일종의 가설입니다. 인간 조차도 큰 自然史의 일종으로 볼 수 있긴 하지만, 바로 그 자연조차도 인간의 쉼없는 '개입'에 의해 성립된 것이기 때문이지요. 그러므로 '윤리학적 가설'이라는 말은, 필경 인간의 책임과 동근원적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119회 별강<장숙에서의 공부가 내 삶에서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가> 簞彬 2022.01.05 487
35 118회 별강 <자기소개에 대하여> 燕泥子 2022.01.05 160
34 115회 별강 <경험가설> 1 지린 2021.11.12 222
33 114회 별강-<유령들의 요청> 실가온 2021.10.28 317
32 113회 속속 별강 <눈을 감고 심호흡을 하면> 1 약이 2021.10.15 212
31 110회 속속 별강 <변신(變身)하기 위해 장숙(藏孰)에서 장숙(藏熟)하기> 2 수잔 2021.09.03 370
30 108회 속속 별강 (유물론자의 다른 세상 보기) 1 懷玉 2021.08.06 259
29 105회 속속 별강 <청소로 시작의 문을 연다> 1 mhk 2021.06.21 227
28 104회 속속 별강 <What women want> 1 file 燕泥子 2021.06.12 187
27 103회 속속 별강, 답례를 해야 하는 절대적 의무 1 는길 2021.05.29 219
26 102회 속속 별강 <삶의 미학, 그 직관의 토양> 내이 2021.05.14 194
25 (희명자 연재) 行知(1) 듣기의 수행성 1 희명자 2020.04.10 209
24 (위험한 여자들) #1. 페미니즘의 도전(정희진, 2013) 2 榛榗 2019.11.19 175
23 (속속) 연극성(Theatricality)과 진정성(Authenticity) 榛榗 2020.02.26 792
22 (속속 130회 별강) 정서가 자란다 file 는길 2022.06.11 343
21 (身詞) #1. 글쓰기의 어려움 4 榛榗 2019.11.05 331
20 (155회 속속 硏講) 가장자리에서 지린 2023.06.10 206
19 '실력 있음"이 죄가 될 때 1 해완 2020.06.24 165
18 '밟고-끌고'의 공부길,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lector 찔레신 2023.02.05 123
17 '글쓰기'라는 고민 해완 2022.01.05 402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