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문사들의 고질은 '허영'이다

....

나만은 체계밖에서 남다른 모습으로 서있다는 오연한 허위의식이다. 

아아, 아무래도 나는 더 깊고 더 순정하다! 

지라르는 이를 일러 '낭만적거짓'이라고 했는데...

<공부론>



   공부 장소에 가는 기차안에서 이 글을 만났다.  

   나의 낭만적 거짓, 허영을 들켜버렸다.  

   대단한 수치심에 짓눌렸다. 

   자기 소개를 할때 이 글을 낭독했고 그 많은 학인들 앞에서 울음이 터졌다. 


  

   그 시간이 한참 지난후 선생님께서 물으셨다. 

   "왜 울었어요?" 

   나는 '잘모르겠어요' 라는 개미소리로 얼버무리고 또 울었다. 

   

   왜 눈물이 났을까. 

   씹고 또 씹었다. 

   

   뿌리가 뽑혔다,

   그동안 나를 살게 해주었던 지반이 무너졌다. 

   그랬다. 어쩌면 그 허영덕으로 살 수 있었다. 

   그래서 몰랐던걸 알아 슬펐다기보다는

   어쩌면 알고 있었던 것을 들킨냥 부끄러웠고 슬펐다. 


   공부를 마치고  일상속에서 나는

   죽었고, 죽을것 같이 숨을 헐떡였지만  

   세상은 아무문제가 없었다.  


   그러니 어쩌면 나는 이 세상을 너무도 몰랐다. 

   그러면서 이토록 허영을 떨었다.  

   

   허영이 아닌 말을 하려 들여다보니 할말이 없다. 

   나는 무너졌고, 해체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 길속글속 154회 연강(硏講) <어긋냄의 이야기> 燕泥子 2023.05.27 143
15 [一簣爲山(22)-고전소설해설] 崔陟傳(1) 1 file 燕泥子 2023.05.30 144
14 장독후기(26회) 2023/05/21 簞彬 2023.06.03 192
13 (155회 속속 硏講) 가장자리에서 지린 2023.06.10 205
12 [一簣爲山(23)-고전소설해설] 崔陟傳(2) file 燕泥子 2023.06.11 248
11 이번 교재 공부를 통하여, 1 file 는길 2024.02.07 269
10 속속 157~159회 교재공부 갈무리] 촘스키-버윅 vs. 크리스티안센-채터, 혹은 구조와 게임 1 유재 2024.03.05 147
9 160회 속속 발제문] 최명희와 『혼불』제1권 3 유재 2024.03.22 130
8 <최명희와 『혼불』제1권> 발제문을 읽고 2 file 는길 2024.03.29 130
7 161회 속속 낭영과 NDSL사이] 짧은 베트남 여행기 - 그들은 화를 내지 않는다. 유재 2024.04.12 84
6 訓民正音, 혹은 세종의 고독 (1-5) file 찔레신 2024.04.16 187
5 162회 속속 발제문] 공연히, 좀 더 생각해보기: 한자를 정확히 ‘발음한다’는 것은 왜 그토록 중요했을까? 유재 2024.04.26 103
4 寂周經, 혹은 몸공부에 대하여 (1-6) 1 찔레신 2024.05.16 133
3 4月 동암강독 1 file 는길 2024.05.21 110
2 한국어의 기원, 遼河문명, 그리고 한국 상고사의 과제 찔레신 2024.05.23 163
1 164회, 角端飛話 (1-6/계속) 찔레신 2024.06.03 79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