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09.11 12:50

踏筆不二(18) 一句

조회 수 2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近以平丘祭鬼事, 口舌不勝紛紜。此事不必用力探究, 但頌 《論語》一句

曰: “子不語怪力亂神。” 語猶不可, 矧身爲之祼將興俯哉? 其姓名三字,

不見於 《麗史·列傳》, 其職名不見於<織官志>, 其事迹不見於野史。

又無斷碑破誌之掘出於本地者, 則擧其官號, 題其姓氏, 亦太虛廓矣。

壇旣祭, 當帖然收息, 而書牘問答, 一向不絶, 此不幾於人神雜糅乎? 

絶地天通, 政爲今日之急務也。鬼魅之末, 必有菑孼, 如無坐鎭之力, 莫如謹避之爲得。

幸須力勸, 使之不日淸脫如何?

丁若鏞, (1762~1836), 『定本 與猶堂全書』券20, 「與金德叟」

근자에평구(平丘)에서귀신제사하는일로써, 구설(口舌)로어지러움을이겨내지못하고있습니다. 이일은반드시힘써탐구할필요가없으니, 다만《논어論語》한구절을외우면됩니다.가로되:“공자는괴이(怪異)한용력(勇力)과패란(悖亂)과귀신(鬼神)을말하지않았다.” 말함이오히려옳지않습니다, 하물며내림굿을관장하고엎드려절하기를행하기위한신분이라니요?그이름세자(三字)는, 《려사麗史·열전列傳》에서못보았고,<직관지織官志>에서도그직명(職名)을보지못했으며, 그일에대한자취는야사에서도보지못했습니다.또한이땅의것으로출토된잘라놓은비석과파손된기록에도없습니다, 즉그관직이름을들추어, 그성씨를글쓰는것, 역시크게허확(虛廓)합니다. 이미제단을쌓고제사를했으면, 마음편안하고침착하게쉬어야마땅한데, 편지를써서묻고답하기가, 계속해서끊이지않으니, 이것이인간과귀신이한데섞여있는것에가깝지않겠습니까?귀신과통하지말고하늘과통해야하는,바로잡아야하는지금의급하고중대한일입니다. 귀신과도깨비의끝은, 반드시재앙과업보가있으니, 만약앉아서누를힘이없다면, 삼가고피하는것만한것이없습니다. 바라건대모름지기힘써권면하고, 며칠사이에깨끗하게벗어버리게만드는것이어떠합니까?

(정약용, 1762~1836), 『정본 여유당전서 』권20,「김덕수에게주다」


*

지난 62회 시독(時讀) 3교시 漢文講讀시간에 배운 茶山의 글입니다. 다산의 글을 배운다는 기쁨도 컸습니다마는, 짧은 글에서라도 유학자인 다산이 논어의 한 구절(一句), “子不語怪力亂神”을 잡아, 닥친 사안에 대해서 어떤 방식으로 사유를 전개해 나가고 의견을 제시하는가를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었습니다. 그는 전거(典據)를 딛고, 그리고 그것들을 통해서, 스스로의 의견을 말하고 있었습니다.


*

“子不語怪力亂神”은 속속에서 배운 바 있는 일구(一句)입니다. 또한 우리는 공자(BC551~BC449)평전을 공부했습니다. BC500년경에 우리가 알아들을 수 없는 말소리로, 어떤 순간에, 공자가 했다고 전해지는 말이, 문자로 기록되었고, 그 문자를 또 이천 년이 더 지나서 다산이 인용을 하고 있으며, (다산은 그 一句를 어떤 소리로 읽었을까요?) 이천오백 년이 더 지나서, 그 一句를 우리가 공부했습니다. 이 一句, 공자와 다산과 우리는 “子不語怪力亂神”를 다 다르게 소리 내어 읽었겠지만, 우리가 이 一句, “子不語怪力亂神”를 배워서 거기에 담겨 있는 정신을 전해 받게 되었겠지요, 글자에 담아서 전달받을 수밖에 없는 정신을 말입니다. 아득하고 경이롭습니다. 




  1. 踏筆不二(20) 詠菊

    Date2020.09.28 By지린 Views229
    Read More
  2. < 86회 별강> 타자, 그 낯섦의 구원

    Date2020.09.25 By해완 Views249
    Read More
  3. 吾問(3) 언어화

    Date2020.09.22 By敬以(경이) Views238
    Read More
  4. 茶房淡素 (차방담소)-2

    Date2020.09.20 By효신 Views222
    Read More
  5. 始乎爲士終乎爲聖人

    Date2020.09.19 By희명자 Views189
    Read More
  6. 踏筆不二(19) 天生江水流西去

    Date2020.09.17 By지린 Views264
    Read More
  7. 吾問(2) Listen to my question (제 질문을 잘 들으세요)

    Date2020.09.12 By敬以(경이) Views326
    Read More
  8. 남성성과의 화해

    Date2020.09.11 By懷玉 Views238
    Read More
  9. 踏筆不二(18) 一句

    Date2020.09.11 By지린 Views201
    Read More
  10. 學於先學2-1_ 공자와 공자를 배운다는 것(서론)

    Date2020.09.11 By肖澹 Views228
    Read More
  11. 行知(11) 매개(성)

    Date2020.09.04 By희명자 Views246
    Read More
  12. <84회 별강> 2년 6개월 공부의 성과와 위기

    Date2020.09.03 By懷玉 Views579
    Read More
  13. 踏筆不二(17) 존재(Sein)와 당위(Sollen)

    Date2020.09.03 By지린 Views596
    Read More
  14. 吾問(1) - 어떻게 하면 나비가 되죠?

    Date2020.09.02 By敬以(경이) Views312
    Read More
  15. 學於先學1_ 소크라테스와 그의 말(語)

    Date2020.08.28 By肖澹 Views270
    Read More
  16. 詩 하자_ <봄날은 간다>

    Date2020.08.25 By肖澹 Views245
    Read More
  17. 茶房淡素 (차방담소)-장미에 대한小考 (소고)

    Date2020.08.17 By효신 Views299
    Read More
  18. <83회 별강> 능력주의 신화는 아직도 진행 중?

    Date2020.08.14 By冠赫 Views290
    Read More
  19. 조선 1894년 여름, 여성의 삶과 관련하여

    Date2020.08.02 Byㅇㅌㅅ Views295
    Read More
  20. <82회 별강> 여자의 말을 배운다는 것

    Date2020.08.01 By燕泥子 Views26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6 Next
/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