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4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k님과 30년 전 스승과 제자로 인연이 있었던 ㅈㅅㄱ교수님이 차방담소에 함께 하셨다. 말이 오가는 사이가 길어지고 밤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고요해지는 순간을 교수님은 낯설어 하셨다. 담소는 서로 웃으며 이야기함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장숙의 차방담소는 談笑(담소)가 아닌 淡素(담소)이므로 소박하고 깨끗한 비어 있음이어도 좋다. 여백은 비어있음으로 자연스럽다. 어색하여 채우려는 순간, 이미 있었던 꼴들은 더 어지러워지고 제 빛을 잃는다. 그러했던 적이 무수하다. 가리기 위해 덧붙이고, 덧붙여 본래의 의미도 잃어버린 채, 허상(虛像)만 무성하게 피어나던 상처의 자리들. 허실생백(虛室生白)이라 했던가, 방이 비면 빛이 쏟아져 들어와 환하게 밝아진다고, 무상무념으로 진리에 도달하기는 이를 수 없는 진경(眞境)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기 각자의 빛으로 둘러앉은 사람들, k님과 제자님의 문틈으로 흰말이 빠르게 지나가고(若白駒之過䧍), 빈 자리에 가을밤은 꾸밈없이 내려 앉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9 말로 얻은 길. '몸이 좋은 사람' 올리브 2020.10.16 458
128 매실청 개시 기념, file 희명자 2020.10.14 418
127 吾問(5) 기억의 무게 敬以(경이) 2020.10.12 496
126 踏筆不二(21) 自將巾袂映溪行 지린 2020.10.12 462
125 行知 연재 종료, 희명자 2020.10.09 394
124 茶房淡素 (차방담소)-3 효신 2020.10.04 451
123 行知(13) 말로 짓는 집 1 희명자 2020.10.03 453
122 吾問(4) 거울놀이 file 敬以(경이) 2020.10.02 447
121 踏筆不二(20) 詠菊 지린 2020.09.28 435
120 < 86회 별강> 타자, 그 낯섦의 구원 해완 2020.09.25 460
119 吾問(3) 언어화 1 敬以(경이) 2020.09.22 445
» 茶房淡素 (차방담소)-2 효신 2020.09.20 420
117 始乎爲士終乎爲聖人 희명자 2020.09.19 378
116 踏筆不二(19) 天生江水流西去 지린 2020.09.17 518
115 吾問(2) Listen to my question (제 질문을 잘 들으세요) file 敬以(경이) 2020.09.12 510
114 남성성과의 화해 懷玉 2020.09.11 420
113 踏筆不二(18) 一句 지린 2020.09.11 371
112 學於先學2-1_ 공자와 공자를 배운다는 것(서론) 肖澹 2020.09.11 434
111 行知(11) 매개(성) 1 희명자 2020.09.04 469
110 <84회 별강> 2년 6개월 공부의 성과와 위기 1 懷玉 2020.09.03 791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