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10.09 20:06

行知 연재 종료,

조회 수 1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지난 410일에 처음 연재를 시작하였고, 2주라는 주기를 정하여 6개월의 연재를 약속했습니다.


行知(1) 듣기의 수행성

行知(2) ‘순서절차라는 것

行知(3) 서재

行知(4) 여성

行知(5) 비평에 의지하여

行知(6) 후배-되기

行知(7) ‘거짓과 싸운다

行知(8) ‘마테오 리치현장법사를 마무리하는 별강문

行知(9) <속속, 2017년 겨울>

10번째 글 대궁과 재강’: '(현대) 한국인이란 누구인가?'  

行知(11) 매개()

12번째 글 살다,쓰다’: ‘始乎爲士終乎爲聖人

行知(13): 말로 짓는 집

 

13편의 글을 홈페이지에 게시하였습니다. 별강이나 숙제를 위하여 쓴 글로 연재를 네 번 대체하였고, 한 번은 예전 글로 (겨우) 약속을 이행하였습니다.

그래도 스스로 정한 기한이 다 되어서 <行知> 연재를 일단락하고자 합니다.

 

*

새로운 연재 주제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일관성이 없었던 지난 글의 패턴을 보정/보완할 수 있는 주제를 선택하고 싶어서요. (혹시, 추천해주실 만한 주제가 있다면 권해주셔도 좋겠습니다.)

 

*

말해봐야 알고 써봐야 알 수 있는 것이 제게도 있었습니다. 나온 말과 글에 시달리는 순간에만, 조금이나마 겸허하고 조금 더 조심할 수 있었으니 연재가 안겨준 소득을 작게 볼 수는 없을 듯합니다.

한편, 쓴 글을 반복해서 읽는데, 퇴고의 과정이었던 것이 슬며시 거울로 바뀌어 있기도 했습니다. 어느 날, 쓴 글이 타인의 입을 통해 제게 다시 왔을 때 하필 글 반대쪽에 서려던 찰나였어요. 일순 거울의 쾌락은 부끄러움으로 바뀌었습니다. 스스로 발화한 말과 쓴 글을 대하는 태도. 두렵게, 또 굳건히 서는 것을 배울 수 있을까요.

길지 않은 분량이어도 논리를 자주 잃어버리기에 잇고 덧대고 삭제하고 보완하는 노동을 배워갑니다. 남에게 읽힌다는 사실은 허영과 협상하며 보다 나은 말을 찾는 일로 번지기도 하는 것 같아요. 붙잡고 있다 보면 조금 더 나은 말이 생기기도 하고, 좀 더 경험과 가까운 표현이 떠오르기도 하데요. (아하, 초보자의 말 많음을 눈감아주셔요)

청명한 가을이 왔고 겨울도 오겠지요. ‘行知연재를 마무리합니다. , 다시 뵙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6 164회, 角端飛話 (1-6/계속) 찔레신 2024.06.03 178
295 한국어의 기원, 遼河문명, 그리고 한국 상고사의 과제 찔레신 2024.05.23 192
294 4月 동암강독 1 file 는길 2024.05.21 159
293 寂周經, 혹은 몸공부에 대하여 (1-6) 1 찔레신 2024.05.16 153
292 162회 속속 발제문] 공연히, 좀 더 생각해보기: 한자를 정확히 ‘발음한다’는 것은 왜 그토록 중요했을까? 유재 2024.04.26 110
291 訓民正音, 혹은 세종의 고독 (1-5) file 찔레신 2024.04.16 195
290 161회 속속 낭영과 NDSL사이] 짧은 베트남 여행기 - 그들은 화를 내지 않는다. 유재 2024.04.12 87
289 <최명희와 『혼불』제1권> 발제문을 읽고 2 file 는길 2024.03.29 138
288 160회 속속 발제문] 최명희와 『혼불』제1권 3 유재 2024.03.22 135
287 속속 157~159회 교재공부 갈무리] 촘스키-버윅 vs. 크리스티안센-채터, 혹은 구조와 게임 1 유재 2024.03.05 152
286 이번 교재 공부를 통하여, 1 file 는길 2024.02.07 274
285 [一簣爲山(23)-고전소설해설] 崔陟傳(2) file 燕泥子 2023.06.11 254
284 (155회 속속 硏講) 가장자리에서 지린 2023.06.10 219
283 장독후기(26회) 2023/05/21 簞彬 2023.06.03 202
282 [一簣爲山(22)-고전소설해설] 崔陟傳(1) 1 file 燕泥子 2023.05.30 153
281 길속글속 154회 연강(硏講) <어긋냄의 이야기> 燕泥子 2023.05.27 147
280 153회 속속(2023/05/13) 후기 file 고하(皐霞) 2023.05.26 106
279 낭독적 형식의 삶 *2기 신청마감 file 는길 2023.05.24 228
278 밖은 없다 1 file 지린 2023.05.22 198
277 장독후기(25회) 2023/05/07 1 簞彬 2023.05.18 17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