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10.14 19:00

매실청 개시 기념,

조회 수 1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저녁식사는 맛있게 드셨나요,

저는 오늘 저녁메뉴로, 실가온 매실청을 넣어 열무비빔국수를 만들어 보았어요.


그림3.jpg


만든 이를 떠올리니 자부심이 생기고 (남몰래) 위풍당당.  



내친김에 언시에서 구입한 물건들을 사진 찍어봅니다.

이 물건이 머금은 관계에, 잠시 풍요로워집니다.

그림1.jpg그림5.jpg그림2.jpg그림4.jpg



*

(홈페이지 <照下> 14번글)


언시(焉市)


시숙물지언시불창(時熟物至焉市不創)
때가 익고 물건이 오니 어찌 시장이 열리지 않겠는가.


이를 줄여서 숙인언시(孰人焉市)라고 부를 수 있고, 그 뜻은 (누구의 어찌 시장)(숙인의 어찌 시장), 입니다.

간편하게는 다시 이를 줄여서 언시(焉市, 어찌 시장이!)라고 부르면 되겠군요.

누구의 어찌 시장을 줄여, <누찌장>으로 불러도 좋습니다.      -k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5 < 86회 별강> 타자, 그 낯섦의 구원 해완 2020.09.25 143
294 <107회 별강 > 1 해완 2021.07.22 211
293 <82회 별강> 여자의 말을 배운다는 것 燕泥子 2020.08.01 189
292 <83회 별강> 능력주의 신화는 아직도 진행 중? 冠赫 2020.08.14 191
291 <84회 별강> 2년 6개월 공부의 성과와 위기 1 懷玉 2020.09.03 480
290 <89회 속속 별강> ‘約已, 장숙(藏孰) 가다’ 약이 2020.11.12 274
289 <90회 속속 별강> 말(言)을 배운다 侑奏 2020.11.27 180
288 <91회 별강>집중에 들어서다-낭독하는 삶 효신 2020.12.11 163
287 <藏孰> 천안시대, 晦明齋를 열며 2 file 찔레신 2019.07.11 337
286 <동무론>, 전설의 책 ! 3 file 찔레신 2022.10.04 352
285 <장숙>, 2023년 (1-3) file 찔레신 2022.12.26 255
284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청라의 독후감 1 찔레신 2023.01.03 300
283 <적은 생활...> 서평, 중앙일보 양성희 기자 찔레신 2022.12.12 187
282 <조선, 1894 여름> 의제 지린 2020.07.30 55
281 <최명희와 『혼불』제1권> 발제문을 읽고 2 file 는길 2024.03.29 130
280 <틈셋학교>를 연기합니다, file 희명자 2020.02.21 294
279 '글쓰기'라는 고민 해완 2022.01.05 401
278 '밟고-끌고'의 공부길,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lector 찔레신 2023.02.05 121
277 '실력 있음"이 죄가 될 때 1 해완 2020.06.24 165
276 (155회 속속 硏講) 가장자리에서 지린 2023.06.10 20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