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다산의 신독.jpg



君子 處暗室之中 戰戰栗栗 不敢爲惡 (군자 처암실지중 전전율율 불감위악)

군자가 어두운 방에 가운데 있을 때도 두려워하여 감히 악을 행하지 못하는 것은

知有其上帝臨女也 (지유기상제임여야)

상제께서 임하고 계심을 알기 때문이다.

 

不信降監者, 必無以愼其獨矣 (불신강감자 필무이신기독의)

(하늘에서) 내려와 감시하는 이를 믿지 못하는 자, 필시 그 홀로 있음에 삼감이 없을 것이다.

 

中庸自箴(중용자잠)』   茶山 丁若鏞(다산 정약용)

 


유교 윤리의 핵심 원리 중 하나인 신독(愼獨)의 전제조건으로 다산은 상제(上帝)라는 개념을 끌어왔다. 그가 상제(上帝) 혹은 강감(降監)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이 천주교 사상에 영향을 받은 것인지는 논의의 여지가 있겠지만 자신만의 방식으로 신독(愼獨)에 대한 기존 해석을 새롭게 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다산은 로 보는(天卽理) 전통적 주자 성리학적 관점을 벗어나 천()을 이신론적(理神論的) 존재가 아닌 인격신적(人格神的) 특성을 띄고 있는 존재(上帝)로 보았다. 홀로 있을 때 조신하게 삼가는 유교의 신독(愼獨) 윤리가 서양의 기독교의 윤리(“신 앞에 선 단독자”)와 상통되는 지점이 있다는 사실은 참으로 신기하고 놀랍다. 다산의 신독(愼獨)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을 통해 서학(西學)을 포함한 다양한 사상을 편견 없이 대했던 그의 개방적인 학문적 태도와 동서양을 아우르는 보편성을 담지하고 있는 그의 사상의 일면(一面)을 보게 된다.

 

다산이 원시유가의 상제(上帝) 관념을 복원하려는 시도는 단순한 과거로의 회귀가 아니라 인간을 보다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윤리의식을 가진 존재로 재규정하는 토대로 작용했다. 다산에게 인간 존재는 기존 주자 성리학의 성즉리(性卽理)가 함의하고 있는 ()에 지배를 받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다. 다산은 인간을 상제(上帝)의 주재(主宰) 아래, 개인의 실존적인 수양을 통해 자신만의 성()을 주체적으로 구성해나갈 수 있는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존재로 보고자 했다. 인간은 자신의 일상에서 감찰하시는(上帝)을 항상 의식함으로써 홀로 삼감(愼獨)을 실천하고자 하는 강력한 동기를 얻게 된다는 것이다. 다산은 전통적인 주자 성리학의 성즉리(性卽理) 관점과는 다르게 인간 존재에게 사물, 동물과는 다른 특별한 격(의식을 가진 존재)을 부여하였고, 인간이 자신의 마음()에 주어진 단서(四端)를 계발하고 공부를 함으로써 성인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신(上帝)의 섭리와 인간의 실존적 노력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매우 아름답게 조화시키고자 한 다산의 통섭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7 142회 속속(2022/11/26) file 윤경 2022.12.04 158
196 143회 속속(2022/12/10) file 윤경 2022.12.20 143
195 144회 속속(2022/12/24) file 윤경 2023.01.07 157
194 145회 속속(2023.01.07.) file 윤경 2023.01.25 131
193 146회 속속(2023.02.04.) 후기 file 윤경 2023.02.17 106
192 148회 첫 외)속속, 그 시작 file 수잔 2023.03.21 151
191 14회 쪽속 file 遲麟 2019.11.28 221
190 154회 속속, 동학들의 시선 file 수잔 2023.06.03 270
189 161회 속속_ 去華存質 1 file 孰匪娘 2024.04.16 144
188 2019 "秋而孰同步" 5 file 遲麟 2019.10.13 245
187 2019 여름 장숙행 1 file 遲麟 2019.08.04 1348
186 20190809, 세종시 강연(1) 1 file 遲麟 2019.08.13 214
185 2019년 3월 16일 속속, file 遲麟 2019.03.18 183
184 2019년 3월2일 속속 1 file 遲麟 2019.03.04 183
183 2019년 6월 1일 속속(52회) file 遲麟 2019.06.05 137
182 2019년 7월20일, 晦明齋 1 file 형선 2019.07.23 316
181 2019년2월23일, 쪽속 1 file 遲麟 2019.02.25 210
180 2021년 12월 file 찔레신 2021.11.24 1323
179 2022년 2월 -겨울 장숙행 4 file 실가온 2022.02.15 1428
178 28회 보속의 자기소개 中, 1 file 肖澹 2022.03.16 111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