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8.11.14 20:50

장소화

조회 수 27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설거지2.png


장숙 저녁식사 후, 

찬과 국과 밥을 담았던 대접을 待接하는 시간



*   *   *


사람의 삶은 그 근본에서 다양하게 이어지는 응접(應接)과 개입의 실천이다. (...)

하지만 그 중에서도 우리 일상을 채우고 있는 비근한 사물은 늘 괄시받는다. 

그러나 인생에 '새로운 삶(新生)'의 가능성이 주어질 수 있다면 

그것은 오직 사물에 대한 다른 응대와 개입에서 출발할 수 있을 뿐이다. 

당연히 사물이 없거나 그 사물의 빛이 꺼져 있다면 인간의 삶도 제 몫을 다할 수 없다. 

우리의 삶이 얼마나 깊고 넓게 사물에 빚지고 있는 지를 깨단하는 일마저 작은 견성(見性)이겠으나, 

그 빚짐에 응해서 자신의 개입을 성찰하고 다르게 재구성할 수 있는 노력이야말로 

진정 신생의 첫 걸음이 아닐 수 없기 때문이다. 


사물의 유기적 총체는 '장소'로서 나타난다.  

('개입과 新生', k님)


  1. 언시焉市, 어찌 시장이!

  2. 언시에서 열린 작은 놀이판

  3. 연못 補修

  4. 영혼은 어떻게 생기는가

  5. 우리가 하고 있는 공부

  6. 원념을 우회하는 실력

  7. 의문형의 길,

  8. 이 덧없는 청소라는 허드렛일에 대해서,

  9. 이웃(四鄰)을 도울 수 없다면, 그것은 아직 아무것도 아닌 것이다. *

  10. 인생의 고통

  11. 일상의 낮은 자리로

  12. 입식 의자 소식,

  13. 입식 준비 中

  14. 자본과 영혼

  15. 장소화

  16. 장숙 정원의 스투파

  17. 장숙, 회명재에서 숙인재로 이사

  18. 적청화경(寂淸和敬)

  19. 제1회 장독포스터

  20. 조금은 이상한 의자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