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8.11.14 20:50

장소화

조회 수 2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설거지2.png


장숙 저녁식사 후, 

찬과 국과 밥을 담았던 대접을 待接하는 시간



*   *   *


사람의 삶은 그 근본에서 다양하게 이어지는 응접(應接)과 개입의 실천이다. (...)

하지만 그 중에서도 우리 일상을 채우고 있는 비근한 사물은 늘 괄시받는다. 

그러나 인생에 '새로운 삶(新生)'의 가능성이 주어질 수 있다면 

그것은 오직 사물에 대한 다른 응대와 개입에서 출발할 수 있을 뿐이다. 

당연히 사물이 없거나 그 사물의 빛이 꺼져 있다면 인간의 삶도 제 몫을 다할 수 없다. 

우리의 삶이 얼마나 깊고 넓게 사물에 빚지고 있는 지를 깨단하는 일마저 작은 견성(見性)이겠으나, 

그 빚짐에 응해서 자신의 개입을 성찰하고 다르게 재구성할 수 있는 노력이야말로 

진정 신생의 첫 걸음이 아닐 수 없기 때문이다. 


사물의 유기적 총체는 '장소'로서 나타난다.  

('개입과 新生', k님)


  1. 장숙, 회명재에서 숙인재로 이사

    Date2021.04.28 By지린 Views532
    Read More
  2. 장숙 정원의 스투파

    Date2021.10.18 By지린 Views181
    Read More
  3. 장소화

    Date2018.11.14 By형선 Views271
    Read More
  4. 자본과 영혼

    Date2019.04.16 By遲麟 Views267
    Read More
  5. 입식 준비 中

    Date2020.05.03 By희명자 Views192
    Read More
  6. 입식 의자 소식,

    Date2020.05.12 By희명자 Views249
    Read More
  7. 일상의 낮은 자리로

    Date2021.03.23 By효신 Views170
    Read More
  8. 인생의 고통

    Date2020.10.29 By희명자 Views157
    Read More
  9. 이웃(四鄰)을 도울 수 없다면, 그것은 아직 아무것도 아닌 것이다. *

    Date2023.04.24 By효신 Views212
    Read More
  10. 이 덧없는 청소라는 허드렛일에 대해서,

    Date2019.02.19 By찔레신 Views278
    Read More
  11. 의문형의 길,

    Date2020.11.19 By희명자 Views134
    Read More
  12. 원념을 우회하는 실력

    Date2020.12.23 By冠赫 Views189
    Read More
  13. 우리가 하고 있는 공부

    Date2021.04.18 By近岑 Views198
    Read More
  14. 영혼은 어떻게 생기는가

    Date2019.05.28 By형선 Views228
    Read More
  15. 연못 補修

    Date2022.05.08 By燕泥子 Views147
    Read More
  16. 언시에서 열린 작은 놀이판

    Date2019.06.19 By시란 Views331
    Read More
  17. 언시焉市, 어찌 시장이!

    Date2018.11.06 By시란 Views371
    Read More
  18. 어떤 실험, 혹은 실천

    Date2019.08.17 By형선 Views246
    Read More
  19. 어둠을 깨치다

    Date2020.12.15 By효신 Views162
    Read More
  20. 아름다운 것은

    Date2018.12.09 By현소자 Views3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