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1.05.09 19:37

101회 속속

조회 수 1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KakaoTalk_20210509_184548009.jpg


미개(未開) 또는 태고 유형의 사회에서 선물을 받았을 경우, 의무적으로 답례를 하게 하는 법이나 이해관계의 규칙은 무엇인가? 받은 물건에는 어떤 힘이 있기에 수증자(受贈者)는 답례는 하는 것인가? <증여론> p.48

 

받거나 교환된 선물이 사람에게 의무를 지우는 것, 그것은 받은 물건이 생명이 없지(inerte) 않다는 것이다. <증여론> p.68

 

孰人齋에서 열린 101회 속속에서는 인류학의 인문학첫 번째 시간으로 마르셀 모스의 <증여론>을 읽고 각자의 감상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교환과 비교하여 원시 경제에서의 증여에는 사물에 대한 다른 이해가 자리 잡고 있음을 배웠습니다. 선물의 사회에서 주고받기는 곧 영혼의 채무 관계를 인정하는 것과도 이어짐을 알게 되었습니다.

 


  1. 100회 속속

  2. 장숙, 회명재에서 숙인재로 이사

  3. 101회 속속 - 訪吾庭者不顧深山幽谷

  4. 101회 속속

  5. 102회 속속 : 짐멜과 모스를 읽은 후 단상

  6. 102회 속속

  7. 103회 속속

  8. 104회 속속

  9. 104회 속속 - <황금가지> 1차시

  10. 새와 금붕어

  11. 105회 속속

  12. Without Haste, Without Waste !

  13. 하염없이 배우고 하염없이 비우면

  14. 107회 속속

  15. 108회 속속

  16. <孰人齋>의 고양이 一家

  17. 세개의 빛이 무심한 듯 유심하고

  18. 109회 속속

  19. '내 기억 속의 彌勒에는'

  20. 110회 속속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