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서간문 해설



서간문_05.gif



竹川集

조선 중기의 문신 박광전의 시문집. 후손 봉석이 편집, 1739년 초간하였고, 1809년과 1930년에 중간되었다. 94. 규장각도서.[네이버 지식백과] 죽천문집 [竹川文集]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答百誠之

 


洛下相分迨今悵缺不意承惠書謹審節祀返驅云自不覺赫然矧得客履連得康吉者乎老拙自洛歸時轉向嶺南中路困憊之狀不可形不可形家兒第一海南尹友家有喪變故出去者今至七八日第二出做于甲寺故未得修答耳所送紙本深感深感令阮丈前忙未修書此意仰吿焉餘期在於何邊耶當一進敍矣

 


洛下相分迨今悵缺

한양에서 서로 헤어지고 지금까지 마음이 슬프고 허전합니다.

- : 중국 낙양, 편지에서는 수도 한양(서울)을 뜻한다.

- 相分 : 서로 헤어지고

- 迨今 : 지금까지, 여태까지

- 悵缺 : 창결, 헤어진 이후 서운함을 표현, 몹시 서운함. 매우 섭섭함.

不意承惠書謹審

뜻밖에 당신께서 보내주신 편지를 받잡고 삼가 살핍니다.

- 不意 : 뜻밖에

- : 받잡다

- 惠書 : 보내주신 편지

- 謹審 : 삼가 살핍니다

節祀返驅云自不覺赫然

명절 제사를 마친 이후에 돌이켜 말 타고 갔다고 하시니 스스로 나도 모르게 얼굴이 붉어집니다(발끈 성이 납니다. 이런 분위기)

- 節祀 : 절사, 명절 제사

- : 말 타고 갈 구

- : 전해들은 말 다음에 붙인다.

- 不覺 : 나도 모르게

矧得客履連得康吉者乎

하물며 깨닫기를 당신의 여행하는 근황이 연이어 건강하고 길한 것을 알았으니 어떠하겠습니까

- : 하물며 신

- : 앞의 은 깨닫다, 뒤의 은 알다,

- 客履 : (발자취 리)를 붙여서 근황, 행적

   令履 : 영감님의 근자의 체후가

尊履 : 선생님의 동행

行履 : 여행하는 근황

學履 : 공부하는 행태

政履 : 정치하는 행적

侍履 : 자식이 부모를 돌보는 요즘의 행적

老拙自洛歸時轉向嶺南中路困憊之狀

저는 한양에서부터 돌아올 때 영남으로 방향을 돌려 가운데 쯤 와서 곤란하고 피곤한 모습이

- 老拙 : 노졸, 저는, 겸사(辭)

- : ~부터

- : 한양

- 歸時 : 돌아올 때

- 轉向 : 방향을 돌려 향하다

- 中路 : 가운데 쯤 와서

- 困憊之狀 : 곤비지상, 곤란하고 피곤한 모습이

不可形不可形

가히 형언하기 어렵습니다.

- 두 번 쓰는 것은 강조용법

家兒第一海南尹友家有喪變故出去者今至七八日

우리 아들 중 첫째 아이는 해남의 내 친구 윤씨 집에 상사가 나서 그러므로 집을 나간 것이 이제 칠팔일이 되었습니다.

- 家兒第一 : 우리 아들 중 첫째 아이

- : , 그러므로

- 今至 : 이제

第二出做于甲寺故未得修答耳

둘째 아이는 공부하러 갑사에 가서 편지를 잘 써서 올릴 수 없었을 따름입니다.

- 出做 : 做工(주공, 공부나 일을 힘써서 함), 공부하러 가다

- : ~

- 未得 : ~ 할 수 없었다.

- 修答 : 닦아 올리다, 편지를 잘 써서 올리다.

- : 어조사, ~할 따름입니다.

所送紙本深感深感

보내주신 바 종이에 깊이 감사하고 감사합니다.

- : ~

- 紙本 : 종이

- 深感 : 깊이 감사하다

阮丈前忙未修書此意仰吿焉

영감님의 삼촌 앞으로는 바빠서 답신을 못해 올렸으니 이 뜻을 우러러 알려주세요.

- 令 : 영감님

- 阮丈 : 완장, 남의 백부(伯父)중부(仲父)숙부(叔父)계부(季父) ()의 높임말[네이버 백과사전]

- : 바쁠 망

- 修書 : 답신

- 仰吿 : 우러러 알리다

- : 어조사 언

餘期在於何邊耶

남은 이야기는 언제쯤 기약하겠습니까

- : 나머지

- : 기약하다

- 何邊 : 언제 어디

- : 어조사 야

當一進敍矣

마땅히 한번 나아가서 회포를 풀어야지요

- : 마땅히

- 一進 : 한번 나아가다

- : 풀 서, 敍寒暄(서한훤, 만나서 춥고 따뜻함을 이야기하다, 만나서 마음 속 회포를 풀다)

- : 어조사 의, 추정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공자가 주로 썼다고 알려져 있다.

맹자가 주로 썼던 어조사는 로 단정의 의미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6 건축가 박진택 1 file 진진 2018.11.11 2118
195 遲麟과 는길, 豈忘始遇高岐境 3 file 찔레신 2021.12.31 337
194 踏筆不二(26) 林末茶烟起 지린 2020.12.10 118
193 踏筆不二(25) 謫下人間 지린 2020.11.27 110
192 踏筆不二(24) 다시, 달 지린 2020.11.09 100
191 踏筆不二(23)-깨진 기왓장과 넝마 지린 2020.11.03 424
190 踏筆不二(22) 빛 1 지린 2020.10.27 152
189 踏筆不二(연재예고) file 遲麟 2019.10.13 141
188 踏筆不二(9) 돌 file 遲麟 2020.03.03 111
187 踏筆不二(8) 蓮姬 2 file 遲麟 2020.02.19 191
186 踏筆不二(7) 메타포에 능한 자 1 file 遲麟 2020.02.07 205
185 踏筆不二(6) 좋은 생활 file 遲麟 2020.01.10 198
184 踏筆不二(5) 復習 file 遲麟 2020.01.06 199
183 踏筆不二(4) 1 file 遲麟 2019.11.21 203
182 踏筆不二(3) 원령(怨靈)과 이야기하는 사람 2 file 遲麟 2019.11.15 130
181 踏筆不二(21) 自將巾袂映溪行 지린 2020.10.12 113
180 踏筆不二(20) 詠菊 지린 2020.09.28 120
179 踏筆不二(2) file 遲麟 2019.11.05 95
178 踏筆不二(19) 天生江水流西去 지린 2020.09.17 127
177 踏筆不二(18) 一句 지린 2020.09.11 115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