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ssay 澹 2. 존재의 온도


-„Man wird nicht dadurch erleuchtet, daß man sich Lichtgestalten vorstellt, sondern durch Bewusstmachung der Dunkelheit.“(K. G. Jung)

 (사람은 빛의 형상을 상상함으로써가 아니라 어두움을 의식화함으로써 스스로 밝아지는 것이다.)

 

1.  세상에서 가장 힘든 것을 내게 꼽아보라고 한다면, 나는 단연코, 바뀌지 않는 나의 어리석음下愚不移이라고 하겠다. 내 의식이 명령하고 통제할 수 없는 자기 외부의 사건들은 그야말로 수많은 우연의 산물이니, 내가 어찌할 도리가 없다는 것을 안다. 하지만, 외부의 사건을 해석·평가·종합하여 응하는 내 마음의 형식은 오롯이 내 마음 안의 일이기 때문에, 내 탓이라는 말을 피하기 어렵다. 물론, 나의 의도와 상관없이 태어난 내 조국, 내 부모, 내가 속한 사회의 상황이라는 불우를 외면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어찌 할 수 없는 필연을 사랑하여, ‘춤추며걸어 갈 수 없는, 내 자신에 대한 우울한 슬픔을 말하는 것이다.

 

2.  상도想到의 공부만을 취한 다면, 그 길을 가는 걸음이 가벼울까. 번번이 몸을 바닥까지 추락시키는 일상의 무게는 몸을 소외시키지 않는 공부의 형식을 요구한다. 배치 된 일상의 형식으로써, 몸을 --나아가는 공부. ’자기를 내용으로 인식하는 한 에고의 번다함을 벗어 날 수 없(K선생님)‘듯, ’스스로 밝아지기自知自明를 선택한 학인이라면, 정한대로 약속을 이행함으로, 그 형식을 따라, 자기 마음의 길을 알고, 응할 도리 밖에 없다라는 사실을 안다.

 

3.  행하는 것과 아는 것 사이의 자기 개입, 그것은 자기 인식의 눈에 보이지 않는 어두움이 작용한다. 그 어둠을 들출 혜안과 용기를 가지고, 정면으로 바라보이는 어둠을 부정하지 않으며, 자기 어리석음을 용서할 수 있는 깜냥은 어디로부터 오는 것일까.

 


4.  최근 동학 중 한 명이 연극의 주연을 맡아 공연했다. 그의 초대로 연극이라는 것을 관람하였다. 연기를 지망하던 그가 비로소, 진짜들의 세계에 들어갔고, 연극의 매 회, 기존의 자기 자아가 아닌, 완전히 다른 자아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을 체감하였다. 과거에 형성 된 자아에서 탈피해, 연극하는 그 순간만큼은 오롯이 다른 자아인 것이었다. 혹자는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행 할 수 있다고 하지만, 연극은 그 형식 속에서, 행함으로 되어가는 연극적 실천의 현장되었다. 다른 자아로 옮겨가는 연습을 할 때 그는, 왜 되지 않는가?라는 질문을 했고, 연습의 과정에서, 자기 마음에 응결 된 경험의 결과/원인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게 되었다고 한다.

 

5.  자기 어리석음을 용서할 수 있는 깜냥은 어디로부터 오는가.(자기 용서가 자기 관대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자기 어둠을 은폐시키는 에고의 번성으로부터, 연극적 실천이라는 그 형식 속에 순하게 응할 수 있게 될 때, 그 때, 겸허해지는 존재의 온도에서, 그 마음이 오는 것은 아닐까


  1. essay 澹 2. 존재의 온도

    Date2022.02.02 By肖澹 Views287
    Read More
  2. essay 澹 1. 그 사이에서

    Date2022.01.20 By肖澹 Views173
    Read More
  3. Do not be surprised if they try to minimize what happened/ Abigail Van Buren on Oct 2, 2019

    Date2019.10.03 By찔레신 Views146
    Read More
  4. Dear 숙인,

    Date2019.08.06 By형선 Views335
    Read More
  5. Dear Teacher

    Date2022.01.24 By燕泥子 Views207
    Read More
  6. Childhood Abuse Led Woman To Long Life Of Promiscuity

    Date2019.12.12 By찔레신 Views100018
    Read More
  7. 9살 서율이의 10계

    Date2020.02.09 By희명자 Views232
    Read More
  8. 99회 속속의 별강 <弋不射宿>

    Date2021.04.02 By지린 Views190
    Read More
  9. 82회 속속을 준비하는 의제,

    Date2020.07.30 By희명자 Views69
    Read More
  10. 7살 서율이

    Date2018.10.13 By형선 Views551
    Read More
  11. 4月 동암강독

    Date2024.05.21 By는길 Views133
    Read More
  12. 1936년 4월 4일(일), 버지니아 울프의 일기

    Date2022.04.24 By지린 Views233
    Read More
  13. 164회, 角端飛話 (1-6/계속)

    Date2024.06.03 By찔레신 Views138
    Read More
  14. 162회 속속 발제문] 공연히, 좀 더 생각해보기: 한자를 정확히 ‘발음한다’는 것은 왜 그토록 중요했을까?

    Date2024.04.26 By유재 Views109
    Read More
  15. 161회 속속 낭영과 NDSL사이] 짧은 베트남 여행기 - 그들은 화를 내지 않는다.

    Date2024.04.12 By유재 Views85
    Read More
  16. 160회 속속 발제문] 최명희와 『혼불』제1권

    Date2024.03.22 By유재 Views133
    Read More
  17. 153회 속속(2023/05/13) 후기

    Date2023.05.26 By고하(皐霞) Views104
    Read More
  18. 151회 속속(2023/04/15) 후기_“너무 착한 시 아닌가요?” (K선생님)

    Date2023.04.28 By고하(皐霞) Views196
    Read More
  19. 150회 속속(2023/04/01) 후기_“저 사람을 따라가야 한다.”

    Date2023.04.14 By윤경 Views150
    Read More
  20. 149회 속속(2023/03/18) 후기

    Date2023.04.13 By윤경 Views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