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86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서간문_11.gif



藥圃遺稿(약포유고)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이해수(李海壽)의 시문집.

1751(영조 27)경 이해수의 후손들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재(李縡)의 서문, 권말에 이선(李選)의 발문이 있다. 4송도후록(松都後錄)’의 편명으로 시 47, 5·6에 잡저로 서((묘갈명 각 1, 제문 6, () 2, () 6, (() 1, 7에 부록으로 만사·제문·가장·행장·묘갈명·묘지·유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는 이이·성혼(成渾) 등과 주고받은 것이 대부분인데, 대개 짤막한 안부 내용이다.[네이버 지식백과]

 

與牛溪書

伏問起居若何瞻慕無已某蒙賜粗遣但患瘡未瘳迄未躬進無使唤久闕伻候罪恨罪恨日氣漸冱山寒必倍未審何以將攝仰慮亦深伏惟下鑑謹奉狀不宣至月十二日因聖旨東宫来卄四日間動駕云

 

伏問起居若何瞻慕無已

복문기거약하첨모무이

엎드려 묻건대 생활은 어떠하십니까. 우러러 그리워하는 마음이 그치지 않습니다. 

- 伏問 : 엎드려 묻건대, 겸양의 표현

- 起居 : 일상적인 생활

- 若何 : 어떠하십니까, 여하(如何)

- 瞻慕無已 : 첨모무이, 우러를 첨, 그리워할 모

우러러 그리워하는 마음이 그치질 않는다. 

某蒙賜粗遣

모몽사조견

저는 당신에게 받은 은혜로 그럭저럭 세월을 보내고 있습니다.

- : 편지에서 자기를 나타내는 겸칭, 사정상 이름을 밝히기 어려울 때 쓰이기도 한다.

- : 받을 몽

- : 받을 사  / 蒙賜 : 받은 은혜로

- : 그럭저럭  / 조선시대 평가의 5단계, 純通, , , ,

但患瘡未瘳迄未躬進

단환창미추흘미궁진

다만 부스럼 병을 앓고 있어 아직까지 몸소 나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 : 병을 앓다. 여기서는 동사로 쓰임

- : 부스럼, 종기

- : 나을 추

- : 아직까지

- : 몸소 궁

無使唤久闕伻候罪恨罪恨

무사환구궐팽후죄한죄한

사환(심부름꾼)이 없어 오랫동안 안부를 묻는 일을 빠뜨려서 죄스럽고 한스럽습니다.

- 使唤 : 사환, 심부름꾼

- 伻候 : 팽후, 사람을 보내어 안부를 묻는 일

- : 대궐 궐, 빠뜨릴 궐, -- :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빠뜨리다.

- 罪恨 : 죄스럽고 한스럽다. 두 번쓰는 것은 강조용법

日氣漸冱山寒必倍

일기점호산한필배

날씨가 점점 얼어붙으니 산이 추워지는 것은 필히 더할 것입니다()

- 日氣 : 날씨

- : 얼 호

未審何以將攝仰慮亦深

미심하이장섭앙려역심

아직 어떻게 장차 몸을 돌보실지 살피지 못해 우러러 근심하는 마음이 또한 깊습니다.

- 未審 : 아직 살피지 못하다.

- 何以 : 어떻게

- : 장차, 앞으로

- : 조섭(調攝), 몸을 잘 돌보다, 유의어 : 조리(調理)

- 仰慮亦深 : 앙려역심, 우러러 근심하는 마음이 또한 깊다.

伏惟下鑑

복유하감

엎드려 바라건대 굽어 살펴주세요.

- 伏惟 : 엎드려 바라다.

- 下鑑 : 아래로 굽어 살피다.

謹奉狀不宣至月十二日 

근봉장불선지월십이일

삼가 편지 올립니다. 다 말하지 못합니다. 1212 

- : 편지 장

- 不宣 : 한문 편지에서 쓸 말은 많으나 다 하지 못한다는 뜻.

- 至月 : 동짓달, 12

聖旨東宫来卄四日間動駕云

성지동궁래입사일간동가운

임금님 뜻에 따라 왕세자가 24일 그 사이에 온다고 하고 임금님도 어가를 움직인다고 하십니다.

- : 따라, 인해

- 聖旨 : 임금님에 대한 예()를 갖추기 위해 한 칸 비운다. 聖旨 : 임금님의 뜻

- 東宮 : 왕세자

- 日間 : 가까운 며칠 사이

- 動駕 : 임금님의 수레가 밖으로 나감.

- : 이르다, 전하는 말 뒤에 온다.

  • ?
    coffee 2022.04.05 13:49
    세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서간문은 아직 적응이 되지 않아 어리둥절하던 차에 다시 한 번 보고나니 이제야 이해가 갑니다.
  • ?
    燕泥子 2022.04.06 14:15
    천천히 꾸준히 하시면 곧 적응하실거에요.
    배우기를 즐거워하시니 더불어 즐거워지네요.


  1. 「성욕에 관한 세편의 에세이」에 대한 단상

    Date2019.10.07 By허실 Views276
    Read More
  2. “조선, 1894 여름” 의제

    Date2020.07.30 By冠赫 Views65
    Read More
  3. ‘대책 없이 추워진 날씨에 고양이 걱정’

    Date2019.02.13 By형선 Views246
    Read More
  4. [나의 지천명]_2. 안다는것

    Date2020.06.14 By燕泥子 Views211
    Read More
  5. [나의 지천명]_1. 연재를 시작하며

    Date2020.05.31 By燕泥子 Views141
    Read More
  6. [一簣爲山(23)-고전소설해설] 崔陟傳(2)

    Date2023.06.11 By燕泥子 Views248
    Read More
  7. [一簣爲山(22)-고전소설해설] 崔陟傳(1)

    Date2023.05.30 By燕泥子 Views144
    Read More
  8. [一簣爲山(21)-서간문해설]答琴聞遠

    Date2023.04.18 By燕泥子 Views84
    Read More
  9. [一簣爲山(20)-서간문해설]與吳生

    Date2023.02.06 By燕泥子 Views67
    Read More
  10. [一簣爲山(19)-서간문해설]與李儀甫

    Date2022.11.28 By燕泥子 Views112
    Read More
  11. [一簣爲山(18)-서간문해설]與宋雲峯仲懐書

    Date2022.10.04 By燕泥子 Views259
    Read More
  12. [一簣爲山(17)-서간문해설]答李善述

    Date2022.08.21 By燕泥子 Views170
    Read More
  13. [一簣爲山(16)-서간문해설]答洪判官林堂君遇書

    Date2022.07.11 By燕泥子 Views185
    Read More
  14. [一簣爲山(15)-서간문해설]與權章仲

    Date2022.06.26 By燕泥子 Views266
    Read More
  15. [一簣爲山(14)-서간문해설]與鄭士誠士慎

    Date2022.05.29 By燕泥子 Views245
    Read More
  16. [一簣爲山(13)-서간문해설]與金惇敘(2)

    Date2022.05.16 By燕泥子 Views228
    Read More
  17. [一簣爲山(12)-서간문해설]與金惇敘

    Date2022.04.18 By燕泥子 Views187
    Read More
  18. [一簣爲山(11)-서간문해설]與牛溪書

    Date2022.04.05 By燕泥子 Views286
    Read More
  19. [一簣爲山(10)-서간문해설]寄亨南書

    Date2022.03.22 By燕泥子 Views132
    Read More
  20. [一簣爲山(09)-서간문해설]與趙重峰憲書

    Date2022.02.21 By燕泥子 Views20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