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86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서간문_11.gif



藥圃遺稿(약포유고)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이해수(李海壽)의 시문집.

1751(영조 27)경 이해수의 후손들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재(李縡)의 서문, 권말에 이선(李選)의 발문이 있다. 4송도후록(松都後錄)’의 편명으로 시 47, 5·6에 잡저로 서((묘갈명 각 1, 제문 6, () 2, () 6, (() 1, 7에 부록으로 만사·제문·가장·행장·묘갈명·묘지·유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는 이이·성혼(成渾) 등과 주고받은 것이 대부분인데, 대개 짤막한 안부 내용이다.[네이버 지식백과]

 

與牛溪書

伏問起居若何瞻慕無已某蒙賜粗遣但患瘡未瘳迄未躬進無使唤久闕伻候罪恨罪恨日氣漸冱山寒必倍未審何以將攝仰慮亦深伏惟下鑑謹奉狀不宣至月十二日因聖旨東宫来卄四日間動駕云

 

伏問起居若何瞻慕無已

복문기거약하첨모무이

엎드려 묻건대 생활은 어떠하십니까. 우러러 그리워하는 마음이 그치지 않습니다. 

- 伏問 : 엎드려 묻건대, 겸양의 표현

- 起居 : 일상적인 생활

- 若何 : 어떠하십니까, 여하(如何)

- 瞻慕無已 : 첨모무이, 우러를 첨, 그리워할 모

우러러 그리워하는 마음이 그치질 않는다. 

某蒙賜粗遣

모몽사조견

저는 당신에게 받은 은혜로 그럭저럭 세월을 보내고 있습니다.

- : 편지에서 자기를 나타내는 겸칭, 사정상 이름을 밝히기 어려울 때 쓰이기도 한다.

- : 받을 몽

- : 받을 사  / 蒙賜 : 받은 은혜로

- : 그럭저럭  / 조선시대 평가의 5단계, 純通, , , ,

但患瘡未瘳迄未躬進

단환창미추흘미궁진

다만 부스럼 병을 앓고 있어 아직까지 몸소 나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 : 병을 앓다. 여기서는 동사로 쓰임

- : 부스럼, 종기

- : 나을 추

- : 아직까지

- : 몸소 궁

無使唤久闕伻候罪恨罪恨

무사환구궐팽후죄한죄한

사환(심부름꾼)이 없어 오랫동안 안부를 묻는 일을 빠뜨려서 죄스럽고 한스럽습니다.

- 使唤 : 사환, 심부름꾼

- 伻候 : 팽후, 사람을 보내어 안부를 묻는 일

- : 대궐 궐, 빠뜨릴 궐, -- :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빠뜨리다.

- 罪恨 : 죄스럽고 한스럽다. 두 번쓰는 것은 강조용법

日氣漸冱山寒必倍

일기점호산한필배

날씨가 점점 얼어붙으니 산이 추워지는 것은 필히 더할 것입니다()

- 日氣 : 날씨

- : 얼 호

未審何以將攝仰慮亦深

미심하이장섭앙려역심

아직 어떻게 장차 몸을 돌보실지 살피지 못해 우러러 근심하는 마음이 또한 깊습니다.

- 未審 : 아직 살피지 못하다.

- 何以 : 어떻게

- : 장차, 앞으로

- : 조섭(調攝), 몸을 잘 돌보다, 유의어 : 조리(調理)

- 仰慮亦深 : 앙려역심, 우러러 근심하는 마음이 또한 깊다.

伏惟下鑑

복유하감

엎드려 바라건대 굽어 살펴주세요.

- 伏惟 : 엎드려 바라다.

- 下鑑 : 아래로 굽어 살피다.

謹奉狀不宣至月十二日 

근봉장불선지월십이일

삼가 편지 올립니다. 다 말하지 못합니다. 1212 

- : 편지 장

- 不宣 : 한문 편지에서 쓸 말은 많으나 다 하지 못한다는 뜻.

- 至月 : 동짓달, 12

聖旨東宫来卄四日間動駕云

성지동궁래입사일간동가운

임금님 뜻에 따라 왕세자가 24일 그 사이에 온다고 하고 임금님도 어가를 움직인다고 하십니다.

- : 따라, 인해

- 聖旨 : 임금님에 대한 예()를 갖추기 위해 한 칸 비운다. 聖旨 : 임금님의 뜻

- 東宮 : 왕세자

- 日間 : 가까운 며칠 사이

- 動駕 : 임금님의 수레가 밖으로 나감.

- : 이르다, 전하는 말 뒤에 온다.

  • ?
    coffee 2022.04.05 13:49
    세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서간문은 아직 적응이 되지 않아 어리둥절하던 차에 다시 한 번 보고나니 이제야 이해가 갑니다.
  • ?
    燕泥子 2022.04.06 14:15
    천천히 꾸준히 하시면 곧 적응하실거에요.
    배우기를 즐거워하시니 더불어 즐거워지네요.


  1. Childhood Abuse Led Woman To Long Life Of Promiscuity

    Date2019.12.12 By찔레신 Views100012
    Read More
  2. Girlfriend Learns The Secret Behind Man's Cheap Rent

    Date2019.11.29 By찔레신 Views38734
    Read More
  3. The truth about my refrigerator, Kimchi/ Carla Lalli Music

    Date2020.05.07 By찔레신 Views36116
    Read More
  4. Man's Explosive Anger Causes Concern For Easygoing Fiancee

    Date2020.01.16 By찔레신 Views21509
    Read More
  5. How the Coronavirus Can and Cannot Spread/ <New York Times>

    Date2020.03.06 By찔레신 Views11850
    Read More
  6. 건축가 박진택

    Date2018.11.11 By진진 Views2111
    Read More
  7. 虛室'' essay_5. 성, 사랑, 인간을 공부하며 느꼈던 소회(송년회 별강)

    Date2020.01.15 By허실 Views1278
    Read More
  8. 절판된 책 제본신청 (그리고)

    Date2021.01.31 By희명자 Views1026
    Read More
  9. (속속) 연극성(Theatricality)과 진정성(Authenticity)

    Date2020.02.26 By榛榗 Views792
    Read More
  10. 전통, 그 비워진 중심_'세 그루 집'(김재경) 평문

    Date2020.03.11 By榛榗 Views570
    Read More
  11. 7살 서율이

    Date2018.10.13 By형선 Views551
    Read More
  12. 虛室'' essay_3. 글쓰기와 자기이해

    Date2019.12.03 By허실 Views545
    Read More
  13. 踏筆不二(17) 존재(Sein)와 당위(Sollen)

    Date2020.09.03 By지린 Views508
    Read More
  14. 119회 별강<장숙에서의 공부가 내 삶에서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가>

    Date2022.01.05 By簞彬 Views487
    Read More
  15. 學於先學 3_ 茶山 丁若鏞,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를 읽고

    Date2021.02.17 By肖澹 Views484
    Read More
  16. <84회 별강> 2년 6개월 공부의 성과와 위기

    Date2020.09.03 By懷玉 Views480
    Read More
  17. 花燭(화촉)

    Date2019.06.20 By형선 Views464
    Read More
  18. 踏筆不二(23)-깨진 기왓장과 넝마

    Date2020.11.03 By지린 Views421
    Read More
  19. 통신표(2022) (1-5/계속), Tempta Iterum !

    Date2022.01.06 By찔레신 Views412
    Read More
  20. 낭독적 형식의 삶

    Date2023.01.31 By는길 Views40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