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4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곱게 보기

 

"숙인맹진이 끝나고 어느 날 낮잠을 자고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책상위에 놓여져 있는 선생님의 글귀와 다기들, 책들이 조명을 받으며 차분하게 있었습니다

 이것은 숙인맹진 이후 달라진 시선인 것 같았습니다." (수잔) 




58280ED4-81BA-4E58-8456-1FFB3AF0FD70.jpeg


선응(善應)의 처음은 곱게보는 데(그리고 곱게 만지는 데) 있다. 기분이나 기운조차 면면이 이웃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이미 과학이 된 지 오래다. 뭇 존재는 매개이며 타자에게 전()하는 통전적 과정이지만, 우리는 대개 이것을 알지 못한다. 그래서 지혜는 내가 주위에 무엇을 전하고있는가를 깨단하는 일에서부터 시작된다. 공부를 하면서도 시선이 질둔하거나 심지어 완악한 이들이 많다. 표정에 부정적 정서가 얹힌 이라면 학인으로서는 이미 낭패다. 물사(物事)를 예리하고 성찰적으로 살피면서도 시선은 늘 화완(和緩)해야 한다. 그래서 달라진 시선은 자득(自得)의 계기이거나 징표로 보아도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1 訓民正音, 혹은 세종의 고독 (1-5) file 찔레신 2024.04.16 545
290 161회 속속 낭영과 NDSL사이] 짧은 베트남 여행기 - 그들은 화를 내지 않는다. 유재 2024.04.12 354
289 <최명희와 『혼불』제1권> 발제문을 읽고 2 file 는길 2024.03.29 434
288 160회 속속 발제문] 최명희와 『혼불』제1권 3 유재 2024.03.22 414
287 속속 157~159회 교재공부 갈무리] 촘스키-버윅 vs. 크리스티안센-채터, 혹은 구조와 게임 1 유재 2024.03.05 429
286 이번 교재 공부를 통하여, 1 file 는길 2024.02.07 524
285 [一簣爲山(23)-고전소설해설] 崔陟傳(2) file 燕泥子 2023.06.11 539
284 (155회 속속 硏講) 가장자리에서 지린 2023.06.10 550
283 장독후기(26회) 2023/05/21 簞彬 2023.06.03 490
282 [一簣爲山(22)-고전소설해설] 崔陟傳(1) 1 file 燕泥子 2023.05.30 425
281 길속글속 154회 연강(硏講) <어긋냄의 이야기> 燕泥子 2023.05.27 444
280 153회 속속(2023/05/13) 후기 file 고하(皐霞) 2023.05.26 415
279 낭독적 형식의 삶 *2기 신청마감 file 는길 2023.05.24 481
278 밖은 없다 1 file 지린 2023.05.22 498
277 장독후기(25회) 2023/05/07 1 簞彬 2023.05.18 428
276 길속글속 153회 연강(硏講) _'장소의 가짐'과 돕기의 윤리 未散 2023.05.13 386
275 自省 file 지린 2023.05.08 418
274 ㄱㅈㅇ, 편지글(2) 2 찔레신 2023.05.03 537
273 장독후기(24회) 2023/4/23 簞彬 2023.05.02 382
272 151회 속속(2023/04/15) 후기_“너무 착한 시 아닌가요?” (K선생님) 1 고하(皐霞) 2023.04.28 47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6 Next
/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