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일요일 서숙에서 열렸던 장독 강의에서 제가 들었던 가장 아름다운 말은, “내가 한 일이 사방에 흘러 다닌다.”입니다. 매개를 경유해서만 내가 누구인가를 알 수 있는 존재조건에서부터 나 또한 매개로 작동하면서 개입하고 있다는 삶의 증표로 이 말이 들렸습니다. 매개는 이미 밖에 있는 것이라는 까닭으로라도 더 이상 밖은 없다고 말할 수 있을 듯합니다.
지난 일요일 서숙에서 열렸던 장독 강의에서 제가 들었던 가장 아름다운 말은, “내가 한 일이 사방에 흘러 다닌다.”입니다. 매개를 경유해서만 내가 누구인가를 알 수 있는 존재조건에서부터 나 또한 매개로 작동하면서 개입하고 있다는 삶의 증표로 이 말이 들렸습니다. 매개는 이미 밖에 있는 것이라는 까닭으로라도 더 이상 밖은 없다고 말할 수 있을 듯합니다.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86 | 장독후기(21회) 2023/3/12 1 | 簞彬 | 2023.03.21 | 548 |
| 85 | 장독후기(22회) 2023/3/26 1 | 簞彬 | 2023.04.08 | 497 |
| 84 |
149회 속속(2023/03/18) 후기
|
윤경 | 2023.04.13 | 425 |
| 83 |
150회 속속(2023/04/01) 후기_“저 사람을 따라가야 한다.”
|
윤경 | 2023.04.14 | 595 |
| 82 | 왜 소개하지 않았을까? (속속 151회 연강글) | 는길 | 2023.04.15 | 492 |
| 81 |
[一簣爲山(21)-서간문해설]答琴聞遠
1 |
燕泥子 | 2023.04.18 | 445 |
| 80 | 장독후기(23회) 2023/4/9 | 簞彬 | 2023.04.22 | 463 |
| 79 | 길속글속 152회 연강(硏講) --- 일상의 단상들 | 懷玉 | 2023.04.25 | 427 |
| 78 | ㄱㅈㅇ, 편지글 1 | 찔레신 | 2023.04.28 | 582 |
| 77 | 151회 속속(2023/04/15) 후기_“너무 착한 시 아닌가요?” (K선생님) 1 | 고하(皐霞) | 2023.04.28 | 571 |
| 76 | 장독후기(24회) 2023/4/23 | 簞彬 | 2023.05.02 | 479 |
| 75 | ㄱㅈㅇ, 편지글(2) 2 | 찔레신 | 2023.05.03 | 624 |
| 74 |
自省
|
지린 | 2023.05.08 | 503 |
| 73 | 길속글속 153회 연강(硏講) _'장소의 가짐'과 돕기의 윤리 | 未散 | 2023.05.13 | 488 |
| 72 | 장독후기(25회) 2023/05/07 1 | 簞彬 | 2023.05.18 | 512 |
| » |
밖은 없다
1 |
지린 | 2023.05.22 | 592 |
| 70 |
낭독적 형식의 삶 *2기 신청마감
|
는길 | 2023.05.24 | 581 |
| 69 |
153회 속속(2023/05/13) 후기
|
고하(皐霞) | 2023.05.26 | 500 |
| 68 | 길속글속 154회 연강(硏講) <어긋냄의 이야기> | 燕泥子 | 2023.05.27 | 538 |
| 67 |
[一簣爲山(22)-고전소설해설] 崔陟傳(1)
1 |
燕泥子 | 2023.05.30 | 527 |
그 현존이 다만 이웃을 돕는 형식으로서의 빈방일 수 있기를, 그로서 "죽는 날까지 거뜬히 고독(차마,깨칠뻔하였다. 28쪽)"할 수 있기를, 조용히 되뇌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