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개들의 슬픔을


개들의 슬픔을, 오직 그래서

내 슬픔의 깊이를 

알게 된 날이 있었어


두 마리 개가 낮게 묶여 있었지

참새들이 호되게 붉은 하늘을 가르고

농부들은 제 땅만을 부지런히 긁고 있었어

한 마리는 먼 데 구름을 보고 있고

또 한 마리는 나를 부르더군


인간의 표정이 가 닿을 수 없는 눈빛으로 

아득한 비인(非人)의 언덕으로

슬픔이 탄생한 첫 자리로


개들의 사연을 읽었어


<선생님 책, 옆방의 부처, 43쪽>


개들의 슬픔에서 인간의 개입은 무엇인가?

인간이 사린과 어떤 관계를 맺고 어떤 책임을 지고 있는가?

개들의 슬픔이 탄생한 첫 자리에는 무엇이 있을까?


정신이 물질에 개입한다고 본 헤겔이나, 사물의 진리는 직접적인 동일성 속에서 보이지 않고 매개를 통해 보인다는 지젝의 말대로, 인간은 타자를 경유해서 무언가를 알게 됩니다. 자신만의 고유한 것은 없으며 끊임없이 모방하고 가공하여 응하는 관계에서 남다른 힘을 발휘하기도 합니다. 개는 인간과 섞이면서 많은 것이 전염이  된, 인간이 만들어낸 것으로 보여집니다. 사물에도 인간의 개입이 있고, 신(神)도 인간의 개입으로 만들어가는 것이지요. 인간이 좋아지면 개도, 사물도, 귀신도 좋아지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은 자기 개입에 관심을 가지고 윤리적 선택을 해야 합니다.



*

모든 망해가는 것들을 애도하는 방식은 한결같다


괜찮게 여기며 찾던 밥집이 또 폐업을 알리는 고지(告知)를 붙였다. 그래서인지, 저녁 시간인데도 아예 손님이 없고, 휑한 홀 속의 사물들은 이미 혼이 빠진 모습이다. 의도 보다 빠른 것은 늘 사물-성에 힘입는 것일까. 그러나 찬(饌)들은 전성기의 품세와 맵시를 잃지 않고 있었다. 음식을 배설하는 주인아주머니의 눈가에 주름이 낯설다. 그러나 모든 망해가는 것들을 애도하는 방식은 한결같다. '이미-세상-속에는-없는-것'이 아니라면 우리 모두는 진작에 망하였을 것이므로.


<선생님 책, 차마,깨칠 뻔하였다. 47쪽>


"어긋남의 조건은 의도가 있기 때문입니다. 기대하는 의도탓에 어긋나기 마련인 것이지요. 지혜로운 자라면 의도를 믿지 않고 의도 밖의 것, 사물-성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까요." 

선생님께서 좋아하시는 음식점이 망해가는 경험에 대해 말씀해 주셨는데요. 이것은 선생님께서 좋아하시는것이 다르다는 것, 돌려 말하자면 망하는 집만 찾으신다는 것입니다. 다른 거래의 동기를 느끼게 하는 그 곳이 망해가는 것에 대한 애도에는, 선생님 자신에 대한 애도가 포함되어 있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어떠한 태도로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지, 망해가는것과 어떠한 관계를 맺어야 하는 것이 좋은지, 학인으로서 가져야 할 질문을 남기셨습니다. 


  ※위 글은 26회 장독에서 선생님께서 하신 말씀을 중심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6 踏筆不二(10) 破鱉千里 3 file 遲麟 2020.03.22 160
195 제목 3 file 토우젠 2020.04.18 160
194 詩 하자_ <봄날은 간다> 1 肖澹 2020.08.25 160
193 行知(13) 말로 짓는 집 1 희명자 2020.10.03 160
192 茶房淡素 (차방담소)-7 file 효신 2021.04.18 160
191 130회 강강, <허리편> 수잔 2022.10.19 161
190 4月 동암강독 1 file 는길 2024.05.21 161
189 135회 별강 <두려워하는 것과 기쁘게 하는 것은 만난다> 2 늑대와개의시간 2022.08.19 162
188 行知(8) '마테오리치'와 '현장법사'를 마무리 하는 별강문 희명자 2020.07.18 163
187 118회 별강 <자기소개에 대하여> 燕泥子 2022.01.05 163
186 吾問-(7) 어떤 약함 隱昭(은소) 2021.03.10 164
185 <91회 별강>집중에 들어서다-낭독하는 삶 효신 2020.12.11 165
184 별것 아닌(없는) 아침일기 (142회 속속 자득문) 수잔 2022.11.24 165
183 145회 속속 별강문 게시 1 유재 2023.01.06 165
182 踏筆不二(1) 3 file 遲麟 2019.10.24 166
181 '실력 있음"이 죄가 될 때 1 해완 2020.06.24 166
180 네가 연 창문으로 1 실가온 2022.04.04 167
179 134회 별강 <거울방을 깨고 나아가자> 수잔 2022.08.05 167
178 essay 澹 4. 自得(1)_물화物化와 인정 1 肖澹 2022.04.14 171
177 길속글속 147회 '말하기 심포지움' 별강문 --- 말하기와 관련한 작은 노력들 수잔 2023.02.17 171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