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4.01.04 17:29

<혼불>(1), 최명희

조회 수 1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혼불>(1), 최명희



 

다운로드.jpg


<The Language Game>을 교재로 삼아 3회 정도 공부한 다음에는 최명희의 <혼불>(1)을 읽습니다. 문학이 인문학의 기본이라고 하였지만, 좋은 문학작품을 통해 인문학적 감성을 정화, 심화, 재생하는 것은 뺄 수 없는 공부의 일환입니다. 이 감성을 통해 아름다움과 놀라움, 스타일과 그 아우라, 글의 몸과 결, 그리고 곡진하고 풍성한 글이 만드는 마음의 길을 염탐하고 향수(享受)할 수 있습니다. 미리 구해서 조금씩 읽어나가면서, 낯선 낱말을 찾아 익히고, 좋은 문장을 적바림하면서 암기하기 바랍니다. 그래서 다른 세상 속을 살아가는 여인들의 삶을 공감하고, 비평하며, 또 스스로 자신의 삶 속으로 통합(Aufhebung)시켜 보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시 읽기(143회)(1-2) 燕泥子 2022.12.05 130
24 시 읽기(111회) (1-2) 지린 2021.09.08 129
23 시 읽기(137회)(1-2) 燕泥子 2022.09.11 125
22 길속글속(165회)/2024/06/22(토) file 찔레신 2024.06.02 118
21 시 읽기(151회)(1-2) 燕泥子 2023.04.10 116
20 시 읽기(146회)(1-3) 燕泥子 2023.01.30 116
19 시 읽기(139회)(1-2) 燕泥子 2022.10.10 116
18 시 읽기 (107회) 지린 2021.07.20 116
17 시 읽기(153회)(1-2) 燕泥子 2023.05.08 114
16 시 읽기(129회) (1-2) 燕泥子 2022.05.23 114
15 시 읽기(133회) (1-2) 燕泥子 2022.07.18 113
14 시 읽기(154회)(1-3) 燕泥子 2023.05.22 107
13 시 읽기(134회)(1-3) 燕泥子 2022.08.01 106
12 시 읽기(131회) (1-2) 燕泥子 2022.06.20 106
11 시 읽기(145회)(1-2) 燕泥子 2023.01.03 104
10 시 읽기 (109회) (1-2) 지린 2021.08.18 104
9 시 읽기(144회)(1-3) 2 燕泥子 2022.12.19 103
8 시 읽기(140회)(1-3) 燕泥子 2022.10.24 103
7 시 읽기(149회)(1-2) 燕泥子 2023.03.13 98
6 시 읽기 (95회) (1-4) 현소자 2021.01.27 94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0 Next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