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글의 탄생> 이후에 읽을 속속의 교재입니다. 책 한 권과 논문 한 편입니다.


*‘Triangulation supports agricultural spread of the Transeurasian language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1-04108-8)


IMG_0296.JPG


논문은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과학학술지인 <Nature>(2021)에 게재된 것으로, ‘Triangulation supports agricultural spread of the Transeurasian languages’(삼각검증법에 의해서 트랜스유라시아 언어군의 농경 식 전파를 밝히다)(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1-04108-8)는 제목의 글입니다. <The Language Game><한글의 탄생>의 공부를 통해 배운 언어의 성격, 그리고 한글의 기원과 특성에 이어서, 이 연구는 한국어(트란스유라시아/알타이 어족)의 생성과 진화에 대해 새로운 가설을 제시합니다. 이 가설은 기존의 유목적 이동(agropastoral spread)의 학설에 전면적으로 도전하는데, 특히 고고학적-언어학적-생물학(인류학)적 기법의 통섭을 통한 학문적 성취를 뽐냅니다. 특히 이 가설을 지지하고 확대하는 결정적인 대목은 이러한 언어학적-생물게놈분석적 성취를 1970년대 이후 요하(遼河, Liáohé) 서쪽에서 대규모로 이루어진 고고학적 발굴(‘요하문명’)과 일치(overlapping)시키는 데 있습니다.


 1000536132114_i1_750.jpg


이 일치의 성과를 탐색, 확인하기 위한 또 하나의 교재가 <요하 문명과 한반도>(우실하, 2019, 살림지식총서)입니다. 이 책은 한국어(언어학)와 한민족(고고학)의 생성과 이동을 학문통섭적 방식으로 밝혀나가는 데 있어서 또 한 쪽의 고리를 제공합니다. 황화문명에 터한 중화중심주의의 공정적(工程的)’ 태도를 벗어나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역사 이해를 위해서 요하문명에 대한 세심한 접근은 필수불가결해 보입니다. 이 두 편의 글을 통해 <속속> 공부는 다른 논의의 국면을 얻게 될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5 시 읽기(136) (1-3) 燕泥子 2022.08.29 148
344 시 읽기(113회) (1-2) 지린 2021.10.11 149
343 시 읽기 (93회) (1-4) 현소자 2021.01.04 151
342 시 읽기 (115회) (1-2) 지린 2021.11.02 157
341 시 읽기 (110회)(1-3) 지린 2021.08.30 158
340 <인간의 조건>, 한나 아렌트 file 찔레신 2022.07.24 160
339 보속(52회), 2023/04/22 12 file 찔레신 2023.04.10 161
338 시 읽기 (120회)(1-3) 燕泥子 2022.01.17 163
337 <속속>의 공부꼭지 재구성 찔레신 2023.01.15 165
336 <라깡 정신분석 테크닉> file 찔레신 2024.04.20 165
335 시 읽기(102회)(1~5) 2 효신 2021.05.11 166
334 시 읽기 (122회) (1-3) 燕泥子 2022.02.13 170
333 시 읽기 (124회) (1-3) 燕泥子 2022.03.13 170
332 시 읽기 (108회) (1- 3) 1 지린 2021.08.01 171
331 시 읽기(101회)(1~3) 1 효신 2021.04.27 172
330 50회 보속/ 2023/03/25, 서울 <서숙> 10 file 찔레신 2023.03.13 172
329 보속 (49회), 2023/03/11 6 file 찔레신 2023.03.01 174
328 2024년 하반기 숙인모집 공지 孰匪娘 2024.05.18 175
327 破鱉千里 찔레신 2020.03.03 177
326 시 읽기(128회) (1-3) 燕泥子 2022.05.09 177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