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DSL. 2024-04-14.

 

자기 표상 오류

 

아이들 책이었는데, ‘방귀에 색깔이 생긴다면이라는 가설로 시작하고 있었다. 그렇게 무형의 배출물에 색을 입혀서야 비로소 식별할 수 있는 걸까. 사실 많은 경우 우리는 이미 타자를 향하여 타자가 알아보도록 제 속에 든 것을 꺼내어 놓는다. 타자를 향하면서 타자성을 밀어내는 식으로 꺼내놓기도 하는데, 나는 이러한 방식을 배설-이라고 명명하여 본다. ‘배설-’이라 함은 속도와 강도의 조절에 실패하며 타자성을 무화시킨 자리를 가리킨다.

이 실패에 간여하고 있는 내적 변수는 무엇일까. 차마, 깨칠 뻔하였다비현실적 자기 표상’(246)이란 개념으로 분석된 바 있다. ‘아직 어른이 되지 못한 어른 타자성의 현실을 밀어내며 약자(아이)로 자신을 표상하는데, 이로써 생겨난 연쇄가 자기 조절의 실패로 번져갈 수 있겠다. ‘주관적 보상 욕망’의 너머를 볼 수 없는 내면의 아이. 배설-’으로 나타나 자기 결핍을 보상해 줄 대상을 찾는다. 

다행인지, ‘배설-적 꺼내놓기의 틈새로 무(無)의 현실이 넘실거리고 있다. "주관적 보상 욕망을 채워 줄 타자는 없습니다." "받아내야 할 내 몫이란 없습니다." "행위의 결과는 되돌아옵니다." 그렇다면 먼저 유아적 소망이 끊긴, 그야말로 절망(絶望)에 몸을 깊이 담궈야 하는 게 아닐까. 공부하는 자, 자기 몫의 절망을 타자에게 맡길 수 없고 그렇게 정신의 가능성을 분열시킬 수 없으므로.

공백 제외 541


  1. DA(7), 교재(9월 28일)

  2. Sigmund Freud, Civilization and Its Discontents/ 복습 교재

  3. 낭영회(7), 인용문(Oliver Sacks, 1-10)

  4. 프로이트의 문장들(1-10)

  5. Carl Gustav Jung (1875~1961) (1-10/계속)

  6. No Image 17Oct
    by 찔레신
    2019/10/17 by 찔레신
    Views 1511 

    프로이트의 문장들(11-20)

  7. Kant 사상의 알짬들 (1-16)

  8. 헤겔 강의록, 서론 (1-30/계속)

  9. No Image 03Feb
    by 찔레신
    2020/02/03 by 찔레신
    Views 701 

    고전 한문 강독(200-214)(中庸-詩經)

  10. No Image 08Jul
    by 찔레신
    2021/07/08 by 찔레신
    Views 560 

    한문 서간문/한시(18) (1-20)

  11. No Image 16Sep
    by 찔레신
    2019/09/16 by 찔레신
    Views 547 

    낭영회(6), 인용문(1-10)

  12. No Image 29May
    by 찔레신
    2022/05/29 by 찔레신
    Views 536 

    한문 서간문/한시(19): (1-20)

  13. 谷崎潤一郎/ 作品の評価

  14. 장숙(小)강

  15. 한문 서간문/한시(20)/ (1-20)

  16. No Image 26Mar
    by 찔레신
    2021/03/26 by 찔레신
    Views 488 

    한문 서간문/한시(17) (1-17)

  17. Kants Leben (1-8)

  18. 유교와 기독교(개신교), 막스 베버(M. Weber)의 입장 (1-15)

  19. No Image 07Oct
    by 찔레신
    2020/10/07 by 찔레신
    Views 464 

    한문서간문/한시(16) (1-20)

  20. 장숙소강(1)/ <금욕, 절욕, 그리고 하아얀 의욕>/ 2022/06/1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