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7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요하문명과 한반도> 이후의 속속 교재입니다.  


애초, 언어의 생성--한글의 기원과 성격--한국인과 한국어의 기원과 유래에 관한 논의를 거치면서 요하문명의 이해를 통해 단군사화와 고조선 등 한국 고대사의 쟁점으로 나아갈 요량이었지만, 사정상, 훗날을 기약하면서 공부의 방향을 정신분석 쪽으로 (다시 한번!) 선회합니다. 



0393707253_1.jpg


<Fundamentals of Psychoanalytic Technique>(Bruce Fink)

<라깡 정신분석 테크닉>(이종주 옮김)



8992141602_1.jpg


정신분석은  특별한 과학이라기보다 그 적용력에서 최고의 상태에 이른 인문학(the humanities with its applicability at its maximum)이라고 해도 좋습니다.  이 책은 (라깡) 정신분석 기법을 다루고 있지만, 인문학/철학을 다른 시각과 방식으로 구성하는 실천으로 여기면서 읽을 수도 있고, 나아가 일종의 공부법의 일환으로서 적용해 보아도 좋습니다. 정신분석의 이론과 용어는 마치 그리스 비극이나 셰익스피어의 작품처럼 '인간이라는 마음의 길'을 탐색하기에 더 없이 적절한 표지가 되기 때문입니다. '정신'의 '분석'이라, 곧 그것은 자기메타화라는 공부의 밑절미이지요. 그런 뜻에서 정신분석 테크닉은 곧 인문학의 테크닉이자 공부의 테크닉이기도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6 시읽기(46회)(1-7) 遲麟 2019.02.08 378
345 시읽기(45회)(1-8) 遲麟 2019.01.22 1171
344 시읽기(44회) (1-8) 遲麟 2019.01.01 1926
343 시읽기(43회) (1-7) 遲麟 2018.12.21 23197
342 시읽기(42회) (1-9) 1 찔레신 2018.12.06 6572
341 시읽기(41회) (1-9) 찔레신 2018.11.19 488
340 시읽기 84회(1-5) 1 지린 2020.08.23 461
339 시읽기 (86회) (1-5) 2 지린 2020.09.22 232
338 시읽기 (75회) (1-4) 1 지린 2020.04.16 181
337 시읽기 (59회) 1-7 遲麟 2019.08.30 6832
336 시읽기 (53회)(1- 8) 遲麟 2019.06.07 9308
335 시읽기 (49회) (1- 7) 遲麟 2019.04.11 325
334 시 읽기(99회)(1~5) 효신 2021.03.25 214
333 시 읽기(98회)(1~4) 2 효신 2021.03.11 190
332 시 읽기(97회) (1-4) 지린 2021.02.27 185
331 시 읽기(73회)(1-5) 1 遲麟 2020.03.20 224
330 시 읽기(71회) (1-6) 遲麟 2020.02.24 334
329 시 읽기(66회) (1-6) 遲麟 2019.12.08 310
328 시 읽기(65회) (1-7) 遲麟 2019.11.19 371
327 시 읽기(64회) 1-6 遲麟 2019.11.11 348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