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82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건강의 기본값

어릴 적에 종종 속이 얹히면 바늘로 손을 따곤 했다. 가까이에 병원과 약국이 없는 외진 시골에서 우리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랐다. 지금은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병원을 드나들고 약을 처방받는다. 그동안 의학의 발달은 우리에게 많은 생명의 빛을 주었지만 그림자도 남겨주었다. 각 질병과 장기중심의 치료는 의사도 환자도 몸을 물화(物化)시킨다. 우리는 병원에서 의사를 선생님이라 부른다. 누구든지 소크라테스를 만나면 더 나은 사람으로 변화되어 돌아갔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환자의 말을 유심히 들어주고 몸을 살펴주는 의사선생님이라면  병원은 신뢰가 가득한 분위기로 바뀔 것이다.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 파킨슨, 우울증 등 여전히 완치가 어려운 질병이 많다. 40년 넘게 수많은 환자를 치료해온 전홍준박사(하나통합의원)는 몸의 자연치유력을 높이고 생활양식과 습관을 고치는 것이 수술과 약물치료보다 더 낫다고 말한다. 전홍준박사는 사람이 생존하는데 가장 필요로 하는 4가지 요건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첫째 숨쉬기, 둘째 음식물 섭취, 셋째 일과 활동 , 넷째 마음(정신)이다. 얕은 호흡, 가공식품위주의 과식, 지나친 과로와 스트레스는 몸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가장 주요한 생활습관이다. 사실 장숙에서 공부하는 학인으로 자주 듣던 말들이다. 깊고 천천히 호흡하기, 적게 먹기, 적절한 운동, 원망과 변명하지 않는 마음 등 그동안 선생님께서 자주 말씀하셨다. 결국은 건강도 공부도 몸의 생활양식이 기본이다.

               

  • ?
    如一 2024.05.17 04:55
    숙제 제출이 늦었습니다. 송구합니다. 다음에는 늦지 않게 유념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 우리 서간문/한시(12) (1-20) 찔레신 2020.01.06 312
107 우리 서간문/한시(11) (1-20) 찔레신 2019.11.22 284
106 우리 서간문/한시(10) (1-20) 찔레신 2019.10.23 273
105 시독(35), 부교재 찔레신 2019.11.06 302
104 속속(157회), 매듭과 트임 (1-19/계속) 1 file 찔레신 2024.01.08 390
103 소크라테스의 말들 (1-10/계속) 찔레신 2019.11.21 263
102 베르그송(1859~1941) (1-6) 찔레신 2021.07.14 289
101 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 (1-11) 2 찔레신 2021.07.27 398
100 마테오 리치의 전교활동과 그의 사상 (1-29) 찔레신 2020.06.14 245
99 라디오극(3): 醫山問答 (1-32) 2 file 찔레신 2020.03.31 225
98 라디오극(2): '두 노인과 한 젊은이' (1-30) 1 찔레신 2020.02.20 409
97 라디오극(1) '예수, 말이 없었다' 1 file 찔레신 2020.02.05 351
96 낭영회(7), 인용문(Oliver Sacks, 1-10) 1 file 찔레신 2019.09.24 5135
95 낭영회(6), 인용문(1-10) 찔레신 2019.09.16 562
94 고전한문강독(맹자/ 156~170) 찔레신 2019.12.03 212
93 고전한문강독(맹자-대학/ 171-183) 찔레신 2019.12.16 223
92 고전한문강독(350~357 ) (莊子/墨子/荀子) 찔레신 2020.10.26 272
91 고전한문강독(343~349) (莊子) 찔레신 2020.09.23 165
90 고전한문강독(336-343)(莊子) 찔레신 2020.09.07 189
89 고전한문강독(329~335) 찔레신 2020.08.24 16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